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스페셜
"
결과
"(으)로 총 7,191건 검색되었습니다.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사이 시차로 인해, 뇌에서 신체 운동과 위치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해 그
결과
환각을 일으킨 것으로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자신의 신체적 신호의 오해로 인해 마치 유령을 만난 듯한 오싹한 체험을 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로 신경장애로 인한 질병의 원인을 밝히는 데 ... ...
아프리카인 피부색 결정 유전자 확인
과학동아
l
2017.10.30
전부터 피부색과 관련한 유전자 변이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12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ence.aan843 ... ...
금속이 연성을 잃는 한계는 어디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0.29
않게 만드는지 실험한 겁니다. 온도나 압력과 같은 각종 물리력의 한계를 실험한
결과
가 바로 이번주 네이처의 표지 논문입니다. 연구팀은 “물질마다 임계점이 다르지만 그 임계점 아래 환경에서는 얼마든지 결합력을 잃지 않고 밀가루 반죽처럼 자유롭게 형태를 변형할 수 있다는 것을 ... ...
맞고 자란 아이가 '사랑의 매' 더 신봉한다
2017.10.28
37.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
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스스로를 돌보는 게 서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
2017.10.24
종종 나온다(갈색 동그라미). 이는 해저 퇴적물에 방사성핵종이 꽤 있을 것이라는 조사
결과
와 맥을 같이하는 현상이다. 특히 원전 항구에서 잡은 저서어류(갈색 x)의 경우 여전히 수만 베크렐이 찍히는 개체가 잡히기도 한다. 논문에 따르면 원전 항구 둘레에 그물을 설치해 저서어류들이 이곳을 ... ...
꼭 외향적인 사람이 좋은 리더일까
2017.10.22
88.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
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스스로를 돌보는 게 서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은 권위 있는 의료진의 세심한 치료에 자기 의견도 얘기할 수 있게 됐다는 말이다. 그
결과
치료 자체의 질이 높아지는 건 물론이고 플라시보 효과도 최대로 누릴 수 있고 반면 노세보 효과는 최소화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서울대병원이야 국립이니 이렇게 하다 적자가 나도 세금으로 ... ...
심장 세포가 심장만 만들 수 있는 이유를 찾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7.10.15
그 후속으로 샘플 개수를 더 늘렸습니다. 449명에게 얻은 샘플 7051개를 이용했습니다. 그
결과
로 유전적 특이성과 유전자 발현 관계나 X염색체가 불활성화 되는 과정에 대한 논문이 발표됐습니다. GTEx 컨소시엄의 이름으로 발표된 논문1)은 빅데이터를 이용해 유전자의 발현이 유전적 변이에 영향을 ... ...
‘나는 멋진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정말 자존감이 높아질까
2017.10.14
66.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
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스스로를 돌보는 게 서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은하중심에서 중력파를 검출했다는 소식을 접한 드레버는 더 정밀한 장비를 만들어 이
결과
를 재현해보기로 했다. 웨버의 데이터는 신호가 아니라 노이즈(잡음)일 가능성도 컸기 때문이다. 드레버는 웨버의 바(bar) 검출기보다 감도가 높은 버전을 만들었지만 중력파 검출에 실패했고 1970년대 초 이 ... ...
이전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