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감길락 말락 눈을 뜨는 데에도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 모든 에너지는 세포에서, 세포 중에서도 세포소기관의 하나인 미토콘드리아에서 나온다. 미토콘드리아가 만들어 내는 에너지로 우리는 존재한다. 최근에는 진화와 질병 치료에서도 미토콘드리아가 활약하고 있다. 이번 기사에서는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괜찮다는 주장이다. 영국 정부가 허가를 하는 과정에서도, 이런 객관적인 데이터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진행된 인간 세포에서의 실험은 모두 수정되지 않은 줄기세포에서 이뤄졌다. 윤리적 문제 때문이다. 실제로 미토콘드리아를 바꾼 난자가 정자를 만났을 때 어떤 일이 ... ...
- [Knowledge] A320 제조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수 있도록 손수레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설계했다.손수레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비행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음료수 컵을 정리할 수 있는 공간이다. 컵을 차곡차곡 쌓을 수 있도록 길고 둥그런 원기둥 모양의 구멍을 만들고, 이 구멍이 꽉 차게 되면 새로운 통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다른 ... ...
- [Knowledge] 화성 탐사? 여성 우주비행사 연구부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고립된 환경이 심리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우주인을 선발할 때 정신건강을 매우 중요하게 본다”고 말했다. NASA는 논문에서 “지구에서는 우울증과 불안장애를 겪는 여성의 수가 남성보다 두 배가량 많지만, 우주비행사는 심리검사를 통과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여성과 남성의 정신건강에 별 ... ...
- [Photo] 광물이야기 17 화려한 무지개 여신의 깊은 속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나타내는 흔적인데, 성분을 분석해 보면 과거 흘렀던 물의 산성도를 알아낼 수 있다. 중성일 경우 당시 화성의 물 속에 생명체가 살 수 있었다는 걸 나타낸다. 이처럼 광물은 말없는 무기물이지만, 생성 환경에 대한 숨겨진 비밀을 간직하고 보여 준다.광물은 우리 일상생활에 필수불가결한 자원일 뿐 ...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살아남는 세균지구에서는 1990년대부터 극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세균이 발견됐습니다. 그 중에는 강한 방사능을 견딜 수 있는 세균도 있습니다. 데이노코쿠스 라디오두란스가 대표적입니다. 스스로 DNA 조각을 연결시켜 생체를 복구시킬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방사능 물질이 있는 곳에서도 ... ...
- [Career] ‘빅데이터 재료’ 다듬어 일류 연구 이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1998년도부터 2015년까지 남해안에서 발생했던 적조현상을 분석한 논문을 준비 중이다. 대용량 데이터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연구주제도 확장될 수 있다. 손 선임연구원은 “앞으로는 기온, 수온, 강수량, 강물의 유입량, 구름의 양, 해류변화 등 여러 변수와 적조현상과의 상관관계를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인터넷이나 전화 통화 등의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게 만든 게 바로 전자기파지. 그러니 중력파도 앞으로 활용 방법이 무궁무진하지 않을까?친구들이 커서 그 방법을 직접 찾아보는 건 어때? 방법을 찾게 되면 나를 꼭 불러달라고~! 안녕 ... ...
- [매스미디어] 최초의 돌연변이 깨어나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알 수 있다고 발표했던 것이다.뉴클레오티드는 정해진 순서대로 나열된 염기 중 단 하나만 바뀌어도 다른 뉴클레오티드가 된다. 연구팀은 하나의 뉴클레오티드에서 정해진 염기 하나를 다른 염기로 바꿔가며 실험했다. 특정 위치의 염기가 다른 종류의 염기로 바뀌었을 때 나타나는 변화를 확률 ...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했어요. 인공지능 스타크래프트가 나올지도 모른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굉장히 기대돼요.중·고등학교 시절 교수님은 어떻게 공부했나요?저는 고등학교 때 상상하고 공상하는 걸 좋아했어요. 예를 들어 핵융합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이 있으면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머릿속으로 상상했죠. 수학 ... ...
이전6216226236246256266276286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