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2) 새로운 시도 착실한 기능향상 돋보여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돌아온 이들이 놀랄 수밖에.EST그룹은 김장중(한양대 수학3) 전준희(한양대 수학3) 최봉우(
서울
보건전문학교 졸업) 박우진(고졸) 등 21살 동갑내기 넷의 집합체. 갑자기 유명해진 것과는 달리 이들은 고교때부터 "프로그래머로 성공하자"고 맹세해온 친구들이다.'한글' 워드프로세서의 성공에 자극받은 ... ...
고롱고로 분화구 안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분화구 내에 갇혀 사는 사자들은 고립 감소 재번식을 수대에 걸쳐 되풀이하고 있다.고롱고로(Ngorongoro)분화구는 세계에서 제일 큰 분화구로 탄자니아 세렌게티(Serengeti)평원의 동쪽에 놓여 있다. 분화구의 밑바닥은 깊이 7백m나 되며, 면적은 2백56㎢에 이른다. 이곳은 아프리카에서 사자들이 가장 많 ... ...
지리산의 식생과 환경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식물도감을 꺼내 지리산에 분포하는 식물들을 눈여겨 두었다.탐사지도교수인 이창복
서울
대 명예교수(식물분류학, 73세)가 제안을 해서 전북 전주시 외곽에 위치한 도로공사 수목원을 잠시 방문했다. 이곳에서는 1천여종의 식물들이 자라고 있었는데 비슷한 종들끼리 한데 심어져 있어서 ... ...
PART2 볍씨 개량 도전 1백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볍씨개량사를 보면 일본형에서 통일형(일본형+인도형)으로, 다시 개량일본형으로 넘어가고 있다.우리나라에서의 쌀은 조상 대대로 이어온 주식으로서 우리의 식생활 문화에서 뺄 수 없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여 왔다. 쌀에는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각각 약 80%와 7% 내외로 들어 있고 약간의 회분과 ... ...
샐러리맨의 꿈 「재택근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운동후 느긋이 아침식사를 한 다음 8시반이면 컴퓨터 앞에 앉는다. 전자우편함을 열면
서울
본사, 이천공장을 비롯하여 듀폰 본사가 있는 미국과 그 밖의 아시아 유럽 등지에서 보내온 전자편지가 담겨 있다. 이에 대해 하나하나 답을 하고 필요한 연락을 취하고 나면 오전 10시경이 된다.10시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최근에는 신경망 기법이 인공지능과 결합하면서 물체나 문자인식은 진일보하게 된다.
서울
대 자동화시스템 공동연구소가 개발한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문서인식 시스템'은 인식률을 97% 이상으로 올렸으며 글자를 개별 자·모음으로 분리해내는 기능까지 가지고 있다고 한다. 기존의 확률적인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도심에서 또는 근교에서 어떤 촬영조건을 주는 것이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느냐를
서울
신촌 지역과 가평 지역을 노출시간에 따라 늘어 놓음으로써 독자들이 판단하게끔 하자는데 의견이 모아졌다. 좋은 밤하늘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되도록이면 노출을 많이 주어 빛을 많이 모으는 것이 좋으나 ... ...
미래의 과학자 키우는 전세계 화학인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간사 이선행교수(경북대) 박대순선생(경기과학고) 박상민(
서울
과학고3) 오태영(
서울
과학고3) 나문호(경기과학고2) 박천호(경기과학고2) 등 학생 4명과 필자를 합해 8명이었다.뉴욕에 도착하니 현지 시간은 토요일 오전 11시 30분이었다. ICHO에서 전세기로 준비한 델타 항공기로 뉴욕 케네디 공항에서 ... ...
환태평양 인공지능 학술대회 조직위원장 김진형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굳어지고 있다. 그러나 인공지능을 너무 좁게 해석할 필요는 없다.9월 15일부터 나흘동안
서울
롯데호텔에서 '정보사회를 선도하는 기술'이란 주제로 환태평양 인공지능 학술대회가 열린다. 지난 90년 일본 나고야에서 열렸던 제1회 대회에 이어 두번째로 개최되는 이번 학술대회에는 국내외 ... ...
「대기오염 측정 전국 별자리관측」을 마치며 "잃어버린 밤하늘을 되찾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합니다. 그래야 데이터의 공신력도 생기고 비교도 좀더 과학적으로 가능해집니다.
서울
만해도 10여군데를 하면 오염도도 세밀하게 차이가 날 것입니다.이혁 질적으로 행사를 발전시키는 것과 더불어 몇군데서는 초보자들을 모아 공개관측회도 같고 어느 정도 수준에 오른 사람들은 사진촬영대회도 ... ...
이전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