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과학
"(으)로 총 1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
과학동아
l
201101
계속되고 있다. 생명의 정의를 확장할 수 있는 발견이라는 NASA의 주장에 대해 어떤
과학
자들은 논문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외계생명과는 별로 관련이 없는데도 NASA가 연구 예산을 따기 위해 의미를 과장했다는 평가도 많다. 과연 NASA가 발표한 비소 박테리아는 어떤 ... ...
[꿈은 고이 접어 이룰레라] Part1. 접으면 한강도 건넌다
과학동아
l
201101
종이접기가 새로운 친환경 운송수단으로 각광받는 날이 올까. 윤혜정 서울대 환경재료
과학
과 교수는 “종이접기가 특별한 힘을 발휘하는 이유는 종이가 유연해서 접기가 쉽고, 접힌 구조를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는데다 의외로 단단하기 때문”이라는 긍정적인 답변을 내놓았다. 그는 “종이처럼 ... ...
타임스퀘어는 어떻게 부활했을까?
과학동아
l
201101
돌은 돌끼리 모여 분리가 일어나는 과정과 그 경향이 점점 강해지는 과정을 복잡계
과학
에서는 각각 ‘자기조직화’와 ‘양의 되먹임’이라는 말로 설명한다. 사람도 비슷한 과정을 거친다. 사람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보고 따라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 경향이 비슷한 생각이나 성향을 가진 사람을 ... ...
트론 : 새로운 시작(Tron: Legacy)
과학동아
l
201101
완결 짓지는 못했지만 생명의 논리적 구조를 탄소 유기체와 단순기계에서 해방시켜 후대
과학
자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1987년 미국 산타페 연구소의 크리스토퍼 랭턴은 인공생명이라는 용어를 처음 만들었다. 랭턴은 ‘우리들이 알고 있는 생명’이 아닌 ‘있을 수 있는 생명’을 연구하자고 ... ...
인공 파도 속 해양강국의 꿈
과학동아
l
201101
필자는 배와 인연이 많은 사람이다.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했고, 직장은 대한민국 해군이다. 병사들을 지휘하며 전략을 짜는 장교로 근무 ... 하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조선산업은 기간산업으로써 그 중요성이 대단히 크다.
과학
과 공학을 공부하고 싶은 젊은이들의 적극적인 도전을 기대한다 ... ...
한국
과학
영재학교 입학 Q&A
과학동아
l
201101
수 있는 기회를 얻은 것만으로도 충분히 감사할 일이라고 말하는 김규현 학생. 수학·
과학
에 대한 열정을 3년간 가져갈 수 있는 학생들이 후배로 들어오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 ...
화학이 사라지면 게임도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1
정말 어마어마하구나! 앞으로 첨단 화학이 바꿔 놓을 생활이 기대되는 걸? 어때? ‘어린이
과학
동아’ 친구들도 화학이 하는 일을 보니 나만큼이나 깜짝 놀랐지? 우리 함께 집안 구석구석에 숨겨진 화학의 보물들을 찾아 보면 어떨까? 자, 그럼 시~작!한눈에 이해가 쏙쏙특집 한 걸음 더!금속간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
과학동아
l
201101
즉 고체가 단단해지면서 저항이 줄어들어 진동주기가 짧아진다는 것. 그런데
과학
저널 ‘사이언스’ 2010년 12월 10일자에 레피 교수의 주장을 뒤집은 논문이 실렸다. 챈 교수의 제자인 김 교수팀의 연구결과다.“이 실험은 일본 이화학연구소(이하 리켄)에 있는 장비를 쓸 수 있었기 때문에 ... ...
Part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
과학동아
l
201101
생명을 이루는 6대 원소를 대체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보다 훨씬 획기적이다.일부
과학
자들은 현재 알려진 것과 전혀 다른 생화학 반응으로 살아가는 생명체가 지구 어딘가에 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원시 지구에서 태어난 이들 생명체가 멸종하지 않고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생명체가 ... ...
NASA, 3D 달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101
3차원으로 본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과학
자들이 달궤도탐사선(LRO)의 관측 결과를 토대로 달의 3차원 지도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12월 17일 NASA의 고다드 우주항공센터는 레이저빔을 이용해 달의 지형을 정교하게 측정함으로써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달의 입체지도를 만들었다고 ... ...
이전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