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과학동아 l2010년 02호
- 날을 바닥 쪽으로 살짝 볼록하게 만들어 좁은 반경의 곡선을 돌고 나서도 바로 치고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날을 성형하는 방법을 ‘로그를 준다’고 한다.쇼트트랙 스케이트는 롱트랙 스케이트에 비해 날을 더 불룩하게 만든다. 또 곡선구간에 맞게 스케이트 날을 미세하게 휘어 놓아 몸이 ... ...
- 국내 최초 달리는 로봇 휴보2 전격해부과학동아 l2010년 02호
- 튼실한 ‘허벅지 근육’휴보2의 ‘심장’은 몸통 안쪽에 들어 있는 배전기다. 배전기 바로 위에는 48V, 8A 용량의 리튬폴리머 배터리가 들어 있는데, 이는 휴보2를 2시간 동안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이다. 배전기는 배터리에서 나오는 힘을 온몸에 골고루 나눠주는 역할을 한다.이런 힘을 달리기 ... ...
- 아이폰 vs 옴니아2 당신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0년 02호
- 많이 향상됐지요.운영체계, 유저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아이폰맨 : 아이폰의 안정성은 바로 OS의 우수성 때문이오. 애플의 맥OS X는 윈도와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라 아뢰오. 옴니아2는 ‘윈도 모바일 6.1(향후 6.5로 업그레이드 가능)’에다 옴니아의 자체 사용자인터페이스(UI)인 터치위즈를 ...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과학동아 l2010년 02호
- 복사를 계속 내보낸다. 그리고 호킹 복사는 시공간에 잔물결을 일으킨다. 이 잔물결이 바로 중력파 라는 것이다. 크레인 교수는 “블랙홀 우주선을 찾기 위해 새로운 중력파 관측시설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현재의 관측시설은 블랙홀과 중성자별이 합쳐지면서 나오는 진동수가 적은 중력파를 ... ...
- 한겨울 추위 이기게 하는 입 큰 생선 대구과학동아 l2010년 02호
- 대구는 몸통만 큰 것이 아니라 머리도 크다. 큰 머리에 어울리게 눈도 크고 입도 큰데, 바로 여기서 대구(大口)라는 이름이 유래했다.몸 빛깔은 등이 갈색 또는 회갈색이며, 배는 흰색이다. 등과 옆구리에는 모양이 고르지 않은 반점이 많이 흩어져 있다.일본에서는 대구를 ‘마다라(眞魚雪)’라고 ... ...
- 곤충계 싸움의 기술과학동아 l2010년 02호
- 갑옷으로 무장한 딱정벌레의 한 종류인데, 사람들이 애완용으로 기를 만큼 인기 있다. 바로 사슴뿔처럼 멋들어진 커다란 턱(구기) 덕분이다. 암컷보다는 수컷의 턱이 더 크며, 잘리면 다시 원래대로 자라나는 사슴뿔과 달리 사슴벌레의 큰턱은 한번 잘리면 다시 자라지 않는다. 또 애벌레로 지내는 ... ...
- “여기는 아라온호, 남극 대륙이 눈앞에 보인다”과학동아 l2010년 02호
- 긴 얼음벨트가 형성돼 있다. 그중에서 균열이 난 곳이 있는데, 그곳이 바로 남극 대륙으로 이어진 입구다. 얼음벨트 입구에서 대륙까지 가는 과정에서 아마도 첫 쇄빙 항해를 경험할 것 같다. 대륙까지 가는 데는 두께 2m 미만의 얼음층을 400km나 뚫고 가야 한다. 시속 5km 속도로 이동하면 3일 정도 ... ...
- 한국 원전 첫 수출, 숨은 비결은과학동아 l2010년 02호
-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한국은 세계가 따라올 수 없는 또 한 가지 강점이 있다. 바로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 운전 능력이다. 2008년 원전 가동률은 미국이 89.9%, 프랑스가 76.1%, 일본이 59.2%인데 비해 한국은 93.4%를 기록했다. 이는 연료를 교체하는 정비 기간을 제외하면 어떠한 사고나 사건 없이 ... ...
- 태양보다 200배 큰 별 폭발 장면 잡았다 !과학동아 l2010년 02호
- 것으로 기대되는 새로운 형태의 초신성 폭발을 소개한다. ‘쌍불안정성 초신성 폭발’이 바로 그것이다. 지난해 과학저널 ‘네이처’ 12월 3일자에 이론적으로만 가능성이 예측됐던, 이 새로운 형태의 초신성 폭발을 관측한 결과가 발표돼 학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이 발견은 초신성에 대한 이해뿐 ... ...
- 금메달을 만드는 명품 얼음과 눈과학동아 l2010년 02호
- 곳에서 내려오는 기록 종목은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하나 더 있다. 바로 고도다. 알파인 스키나 봅슬레이 종목에서는 어느 높이에서 경기를 진행하느냐에 따라 선수의 순간적인 근력과 심폐 기능이 좌우된다. 김광준 연구원은 “시합장소가 해수면 고도에 있을 때 선수 운동 능력이 ... ...
이전6206216226236246256266276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