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청정 원자력 발전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꿈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임준서울대 원자핵공학과를 졸업한 뒤 동
대학
원에서 핵재료전공으로 공학석사를 마치고 ‘납-비스무스 원자력 시스템 구조재료 개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올 2월 벨기에 원자력연구원(SCK-CEN)의 MYRRHA 설계팀에 참여할 예정이다 ... ...
CSI 수사체험 ‘지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방지해 더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게 한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그러나 최근 영국 맨체스터
대학
연구팀은 볼록한 지문 때문에 물건과 손의 접촉면이 적어지고 마찰력도 3분의 1이나 줄어든다는 새로운 주장을 하고 있다. 그간의 정설과는 정반대의 주장이라 흥미롭다.드디어 잡았어!!다시 범죄수사 ... ...
기하학의 새로운 탄생, 좌표평면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은 지구 어디쯤 있을까요? 우리나라는 위도 33~43°의 북반구 중위도에 위치합니다. 만일 경도와 위도가 없다면 우리나라가 어디에 있다고 말하기 어려웠겠지요. 경도와 위도는 지구 위에 그려진 좌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학에서 좌표평면의 발견은 도형과 대수식을 연 ... ...
[뉴스 속 수학 읽기] 잎 주름의 원리를 밝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밝혀졌습니다.미국의 하버드
대학
교와 영국의 로라잉글랜드드발핀
대학
교, 위스공학
대학
교 연구팀은 물속에서 자라는 백합과 옥잠화 잎에 있는 물결 모양의 구불거림이 어떻게 생기는지 알기 위해 잎을 해부해 보았습니다. 연구 결과 그들은 잎사귀의 주름이 물의 속도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아 ... ...
피자 분할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피자를 똑같이 나누는 방법을 연구해 온 수학자가 있습니다. 바로 미국의 루이지애나
대학
교의 마브리 교수와 데어먼 교수입니다. 피자를 똑같이 나눌 때 원 중심을 지나도록 자른다면 간단하지만, 중심을 지나지 않게 자른다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피자를 중심을 지나지 않는 직선으로 나누면 여러 ... ...
태어난 순서로 성격 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몽펠리에
대학
교의 연구팀은 태어난 순서와 성격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510명의
대학
생들이 투자자와 은행원 역할을 나누어 맡는 실험을 했어요. 투자자는 은행원에게 돈을꼭 투자해야 하지만, 은행원은 투자자에게 돈을 돌려주지 않아도 되는 규칙이었지요. 투자자는 돈을 돌려받을지 알 수 ... ...
미녀가 드문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것.연구자들은 동일한 눈과 입술을 갖고 얼굴에서 배치를 달리한 합성사진을 만든 뒤
대학
생들에게 보여주며 미녀를 꼽게 했다. 그 결과 눈과 입 사이의 거리가 얼굴 길이의 36%일 때, 두 눈동자 사이 거리가 얼굴 폭의 46%일 때 가장 예쁘다는 결과를 얻었다. 미녀의 조건이 되는 새로운 ‘황금 ... ...
우리집 고양이는 오른손잡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왼손잡이, 오른손잡이가 있을까요? 영국 퀸스
대학
교 데보라 웰스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고양이도 성별에 따라 잘 쓰는 발이 있다고 해요.웰스 교수팀은 고양이 42마리를 대상으로 두 가지 실험을 했어요. 먼저 쥐를 줄로 묶어 놓고 고양이가 어느 쪽 발을 이용해 쥐와 장난을 치는지 관찰했어요.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안녕하세요? 이번에 빙하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에서 나무늘보 역할로 온갖 액션 연기를 소화한 시드입니다~! 이번 영화에서 생긴 에피소드요? 물론 있지요. 촬영을 마치고 동료 연기자인 매머드와 함께 빙하기가 오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었어요.세트였지만 하얀 눈이 사방에 덮여 있으니 아 ... ...
꽃매미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때문에 흔히 주홍날개꽃매미라고 불리고 있지만 이는 정식 이름이 아니다. 2008년 충북
대학
교 조수원 교수팀은 분류학적 기준을 바탕으로 학계에 정식으로 ‘꽃매미’라고 보고했고, 그 뒤부터 꽃매미가 정식 명칭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분류학적 위치 매미아목 꽃매미과학명 Lycorma delicatula사는 곳 ... ...
이전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