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동
작용
행위
실행
동작
행동거지
몸짓
d라이브러리
"
활동
"(으)로 총 6,600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공의 우주기지와 과학자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이 주변의 지명을 따서 쌍성자(双城子)기지라 부르고 있으나 중공에서는 서방측에 상업
활동
을 시작하면서 주천(酒泉)기지라는 이름을 쓰고 있다. 그 주천시는 이곳에서 1백50km 떨어져있다. 주천기지는 제1호 위성발사이래 계속하여 사용되고 있으나 정지위성 발사에는 대단히 불편한 곳이다. ... ...
플로리다주의 악어 사육 쇠고기 대신 악어고기를!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편이라고. 악어 농장주들은 이런 수지상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악어고기의 판촉
활동
에 열심인 것이다. 산업용으로 쓰이는 악어는 8종. 이가운데 '아프리카 크로커다일'과 '미시시피 앨리게이터'가 가장 좋은 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악어가죽부위가운데 가장 비싼 부위는 뱃가죽. 악어가죽의 ... ...
달리는 컴퓨터―일본의 첨단 자동차 카 센서의 활용, 어느 정도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모두 합치면 이미 1백여가지가 넘는다. 이런 사실을 보면 센서가 인간을 대신하여 어떻게
활동
하고 있는가를 알수 있다. 지금이야말로 자동차는 달리는 컴퓨터, 달리는 센서라 하여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1천분의 1백1초로 에어백 작동 만약 앞차와 충돌하거나 전주에 부딪쳤을 때 최악의 사태를 ... ...
한국 표준 연구소장 이충희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많았을텐데… "처음에는 아무래도 연구개발보다는 '표준이라는 것이 무엇이냐'는 계몽
활동
에 치우쳤읍니다. 지방을 돌면서 강연도 하곤 했는데 주로 공갈협박(?)을 많이 사용한 것 같습니다. 즉 생명과 관련이 있는 체온기 혈압계 등이 엉망이면 어떻게 되겠느냐는 식이지요. 현재 전국에 2차 3차 ... ...
각종 미생물과 세포를 수집·보존·보급한다 유전자은행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겸직하고 있다. 이중에는 세계적으로도 인정받는 유치과학자도 있으며 활발한 학술
활동
도 벌이고 있다.우리나라의 유전자은행은 설립한지 1년남짓 지났으나 실은 훨씬 이전부터 비슷한 업무를 수행해온 역사가 있다. 즉, 1971년 KIST의 생물공학부내에 균주수집소를 두어 각종의 균주를 보관해왔다. ... ...
PARTⅡ 세포에도 시계가 있다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리듬은 24시간을 주기로하여 하나의 정점을 가지는 곡선으로 나타난다. 이에 반해 게의
활동
리듬은 복잡하여 3정점을 가지는 곡선으로 나타난다(그림참조).한편 식물에 있어서도 유사한 예를 찾아볼 수 있다. 돌나무과에 속하는 카랑코(Kalanchoe" fed-tschenkoi)라는 식물의 잎속에 포함되어 있는 ... ...
국방자동화, 민간기업 참여 확대해야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대해 국방전산은 일반적으로 △막강한 구매력의 행사(연구
활동
분위기 조성 및 기업
활동
의 기반 마련) △인력양성(산업계로의 전환 교류) △모범적 시스팀 구축(표준화)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들 목표가 효과적으로 달성되기 위해서는 국방자동화 총괄전문부서가 설치돼야 하고 ... ...
번식의 일반규칙을 깬 바다물고기 해마(海馬·SEA HORSE)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자라다가 약 반년쯤 뒤에는 그들도 새끼를 낳게 된다. 이런 해마의 생태를 두고 여성의
활동
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현대를 상징하는 것 같다고 풀이한 생물학자도 있다 ... ...
무등관찰클럽이 찍은 생태계의 신비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카메라와 채집도구 등 장비를 갖추고 관찰
활동
을 하면서 겪은 에피소드도 많다. 영산강 하구둑이 생긴 뒤의 생태계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개펄속에 들어가 게를 채집하다가 바닷물이 들어오는 줄을 몰라 위기에 빠질 뻔하기도 했으며, 해바라기가 움직이는 ... ...
PARTⅠ 바이오리듬 파약해야 공부도 잘할수 있어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좋고, 수험생은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좋다.후반 16.5일 저조기에는 지적
활동
이 휴식기에 들어가 두뇌작용은 둔화되고 민첩성이 부족해진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다음 고조기에 대비하여 에너지를 보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료를 정리, 분류하거나 기초조사를 중심으로 해서 ... ...
이전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