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2. '앨리스'의 이상한 나라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것으로 예상된다. 빅뱅 이론에서는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가진 아주 뜨겁고 작은 한
점
이 폭발한 뒤 팽창하면서 식어 현재 약 3K(약 -270℃)이라는 차가운 우주가 형성됐다고 본다.앨리스 실험에서 구현하려는, 태양 중심보다 10만 배나 높은 온도는 바로 빅뱅 직후 100만분의 1초가 경과한 초기 우주(약 1 ...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려움 머릿니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쐬었을 때는 95% 이상의 머릿니가 죽었다.천연물로 만든 약제는 서캐까지 죽일 수 있는 장
점
도 있다. 향을 이용한 약제는 머릿니 알이 호흡할 때 공기를 통해 들어가 서캐를 죽인다. 양 교수는 “앞으로 5년 이내에 천연물질을 이용한 약제를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긋지긋한 머릿니에서 ... ...
체질의 비밀 밝히는 '이제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설태를 분석한다. 빨갛고 깨끗한 혀가 100
점
이라면 하얀색, 노란색, 검은색 설태 순으로
점
수가 낮아진다. 김 박사는 “설진기는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아 눈으로 볼 때보다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제마 프로젝트’가 가장 공들이는 연구는 체질별 유전자 분석이다. 가령 ... ...
영혼을 잃고 헤매는 가엾은 육체의 광시곡 바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2007년)의 제작진이 선보인 태국 공포영화로 올해 국내에서 개봉된 첫 공포물이라는
점
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영화 포스터에서 ‘인간의 몸은 5리터의 피, 6파운드의 피부, 206개의 뼈, 600개의 근육으로 이뤄져 있다’는 문구가 눈에 띄는데, 사실 이 모든 기관을 관장하는 뇌는 약 1.4kg에 불과하다 ... ...
'내 생애 최고의 순간'을 위하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얼리어답터’의 적성을 좇아 뒤늦게 전자통신공학으로 진로를 변경했다. 이들의 공통
점
은 자신의 개성과 적성을 버리지 않고 진로를 개척했다는 것.10년 뒤를 내다보고 당시로선 낯선 분야에 뛰어들어 자신의 능력을 키워낸 사람들도 있다. “불모지나 다름없는 국내 항공분야에서 할 일이 ... ...
콘센트에 꽂아 인터넷하는 '아폴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배선 공사를 할 필요가 없다.그러나 랜선을 이용할 때보다 인터넷 속도가 떨어지는
점
이 아쉽다. 사용자 환경에 따라 최대 속도인 85Mbps에 크게 못 미치는 경우도 있다. 속도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용자라면 꼭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 ...
X선 영상에 예술 담는 의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결국 지난 1월 19일 ‘X-선 영상으로 본 또 다른 내면의 예술 세계’라는 주제로 작품 8
점
을 모아 개인전을 열었다.미술계의 반응은 꽤 괜찮았다. 세계적으로 X선을 이용한 사진 작품이 여럿 있긴 하지만 내 작품처럼 적극적으로 작가의 감성을 표현한 경우는 없다는 평이었다.앞으로도 작품 활동을 ... ...
벌레가 먹는 버섯이라고 식용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청백색 인광을 내는 화경버섯이다. 대의 밑부분을 자르면 자줏빛을 띤 검은색 반
점
이 있어 느타리와 구별할 수 있다. 느타리는 주로 포플러나무에 생기지만 화경버섯은 광릉이나 지리산의 서어나무 고사목에 나타난다.우리나라 농촌에서 살충제가 나오기 전까지 파리를 잡는 데 이용한 독버섯도 ... ...
여름방학과 여름휴가를 수학책과 함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찾을 수 없지만 왠지 뇌리에서 떠나지 않는 아련한 감정’이라는 수학과 연애감정의 공통
점
을 잘 보여준다.주인공 가운데 두 사람이 만나는 첫 장면부터 피보나치수열을 비롯해 도저히 그 다음 수를 예측할 수 없는 ‘6 2 8 2 10 18’ 같은 수열에 이르기까지 읽기에 만만찮은 책이다. 그러나 겁낼 ... ...
썰렁홈즈의 만우절 가짜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가짜를 금세 구별할 수 있다.이를 뛰어넘어 보는 각도에 따라 색깔이
점점
옅어지거나
점점
진해지면서 색깔이 달라지는 잉크도 있다. 기존 색변환잉크는 잉크입자들이 가로로 누워 있어 한 번에 한 색깔씩 모두 두 가지 색깔이 보이게 되는데, 새로운 잉크는 잉크입자들이 세로로 서 있어 보는 ... ...
이전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