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만큼 보다 나아진 장치가 계속 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이의
시작
인 고막은 외이에 가까이 있고 매우 얇아서 외부 충격에 약하다. 나이가 들면서 고막의 탄력도 떨어져 진동에 둔감해지기 때문에 난청이 잘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에 인공고막이식이 있다. ... ...
“실패는 신이 주신 선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들여온 부품을 조립한 것이었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었어요. 문제는 우리가 만들 때부터
시작
됐어요. 실패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태평양 심해에 가라앉은 로켓 파편을 찾기도 했어요. 만약 파편을 찾지 못하면 왜 실패했는지 알 수가 없어요. 그러면 똑같은 문제가 또 발생할 수 있거든요.”아사다 ... ...
수학이 살아 숨쉬는, 여기는 이탈리아!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섭리에 따라 날짜를 계산했던 로마인의 지혜를 눈으로 직접 확인한 순간이었다.밀라노를
시작
으로 베네치아와 피렌체를 거쳐, 피사와 로마까지 이탈리아 5개의 도시를 통해 수학을 체험했던 이번 수학여행은 진정한 수학(Math)여행이었다. 고대부터 오늘날까지 웅장하고 화려한 이탈리아의 역사와 ... ...
화이트데이 솔로 탈출을 위한 사랑방정식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이들의 솔로 탈출을 도와 줄 수 있을까?운명의 상대를 만날 확률을 구해 달라니
시작
부터 만만치 않다. 어떤 사람들은 쉽게 커플이 되지만 어떤 사람들은 소개팅을 수십 번 해도 안 되지 않는가!그런데 2010년 영국 워릭대의 수학 강사 피터 배커스가 이 문제를 풀었다. 그는 3년 동안 여자친구가 ... ...
3화 괴짜 수학자 모일러의 저택을 통과하라!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폴, 이제 본격적으로 나랑 놀아 볼까?”모일러의 말이 떨어지기 무섭게 폴의 발 밑이 일렁이기
시작
했다. 어지럼증이 들어 눈을 꽉 감았다 떠 보니, 폴의 ... 바닥이 둘로 갈라지는 게 아닌가! 둘은 그 끝이 보이질 않는 시커먼 바닥으로 떨어지기
시작
했다.“으악~!”“또 보자고~! 킬킬킬 ... ...
중국의 생태사진가 '왕창 찍땅'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카메라로 기념사진 한 장 찍을까요? 하나, 둘, 셋~! 찰칵!”사진이 점점 나타나기
시작
했다. 그런데 뭔가 이상했다. 홈즈 뒤에 어느 새 악당 업새블라가 나타나 굴욕사진으로 만들어 버린 게 아닌가.“악~! 업새블라 너 이 녀석~!”일러스트 :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다시
시작
하는 분위기”라고 밝혔다.답은 뇌밖에 없다지금까지의 실패를 딛고 다시
시작
하기 위해 택한 방법이 인공 뇌다. 단순했던 인공신경망과 달리 진짜 뇌의 복잡한 회로망을 자세히 분석해 똑같이 만들겠다는 것이다. 사실 뇌는 불완전한 존재다. 속도도 느리고 기억력도 뛰어나지 않다.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주사했다. 그의 논문에 따르면 당시 일흔 둘이었던 그는 실험 이틀째부터 효과를 보기
시작
해 계단을 뛰어오르고 장시간 실험에도 끄떡없게 됐다고 한다. 또 오줌이 날아가는 거리가 25%나 늘었다고 적었다. 1889년 6월 그는 파리에서 열린 생물학회에 실험 결과를 보고했다. 그 뒤 개와 기니피그의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공통점은 없을까. 1990년대 중반 미국 시카고대의 물리학자들이 구겨진 종이를 연구하기
시작
한 계기도 바로 여기에 있다.구겨진 종이 속에 산이 숨어 있다당시 시카고대 물리학과 박사과정 학생인 알렉스 롭코브스키는 박사논문으로 특별한 주제를 선택했다. 그것이 ‘구겨진 종이의 물리학’이다.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겁니다. 어떻게 살아 있는 개구리를 해부하냐며 눈물을 보이던 소녀들도 막상 해부를
시작
하면 “이게 위구나! 이게 간이구나!”하면서 팔을 걷어붙인다는군요. 요즘은 불필요한 동물실험은 일종의 학대라는 관점이 널리 퍼지면서 학교에서 개구리 해부 시간이 없어지는 추세라 다행입니다.사실 ... ...
이전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