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환경보호문제 중대 이슈로 등장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프레온가스로 인한 남극과 북극에 생긴 오존구멍등은 인류를 포함한 지상의 모든
생물
들의 생존조건을 지속적으로 위협하는 것들이다.체르노빌사고로 인한 방사능은 이제 남·북아메리카에서도 검출되고 있으며 남극에서의 기름누출은 펭귄과 갈매기등을 계속 죽이고 있다. 앨래스카에서도 기름에 ... ...
전자시대의 새로운 인간유형 실리콘 밸리의 소년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소년들에게 이미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 있는 NASA의 에임즈
생물
의학연구부장 '해롤드 샌들러'박사는 나타나기 시작한 변화를 이렇게 지적했다."일렉트로닉스 기술은 다음 세대를 육체적으로 점점 수동적이 되게 하고 있다. 최근에는 청소년들에게 텔레비전을 보게 하거나 ... ...
개관 1년 앞둔 제2국립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를 재현한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과학기술분야는 3층에 4백26평 규모로 마련된다.자연과학은 지구과학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의 5개 분야로 구분하여 기초과학전반에 관한 내용을 1층에 전시할 예정인데, 전시면적은 3백95평 정도. 기술분야는 화력전기터빈 변압기 원자로 방사능계측기 등 에너지이용과 관련된 실물 및 모형과 각종 ... ...
대체식품의 개발에 일조할 터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식량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발하는데 집중된다. 즉 인간을 위한 유용한 식량을 미
생물
동물 식물내의 단백질 등으로부터 추출, 새롭게 제조하자는 것이다. 물론 지속적이고 정책적인 보조고 뒤따라야할 문제다. 아무튼 앞으로의 식량정책은 새로운 대체식품의 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 ...
「디스커버리」호에서 만들어진 단백질 결정(結晶)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canavalin) 결정이며, 사진(4)는 기종(気腫)과 관련된 돼지의 엘라스타제(elastase)결정.
생물
학자들은 효소 바이러스 호르몬의 작용을 억제하는 물질의 결정체를 연구해 왔다. 그러나 이 작업은 순탄하지 않았다. 더욱이 지구상에는 거의 불가능한 일로 여겨졌다. 무엇보다 지구의 중력 때문이었다.그래서 ... ...
동양·중국 전통과학의 한계 왜 제자리 걸음만 했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분야는 동물 식물 무기물의 약효를 포함한 많은 지식을 분류 정리하고 있어서 오늘날의
생물
학 광물학 등에 해당된다.그리고 침 뜸 등의 처치법은 중국에만 독특했던 분야였다. 이러한 전통중국의 처치법이 인체에 대한 체계적 지식에 바탕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중국인들은 인체내의 기관들보다 그 ... ...
마지막 남은 청정지역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곧 죽게 되지만 열대의 따뜻한 물은 수영하기에 좋은 낙원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바다
생물
에게는 그렇지 않다.열대의 바다는 산소가 희박해 다른 지역의 바다와 비교할 때 사막과 같은 곳이다. 허나 양극해는 생명으로 충만하다. 아주 작은 생명체들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많이 있으며 이것을 작은 ... ...
생물
의 갖가지 형태가 갖는 의미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자극은 주체에 의하여 지각되어야 한다."이와 같은
생물
학자와 생리학자간의 '기계와 기관사'논쟁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순간의 길이는?진드기가 자신의 종족을 보존하려면 우선 그 수가 많아야 한다. 동시에 오랫동안 먹이가 없어도 살 수 있는 능력도 갖추고 ... ...
예수의 수의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공기중의 새로운 탄소14로 대체할 수 없다. 이것은 동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한번이라도
생물
체의 한 부분이었던 물질은 무엇이나 탄소14의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탄소14의 함량이 적으면 적을수록 그 물질이 생명체의 한 부분으로 된지 오래된 것이다.이러한 일은 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 ...
극한 상태에서 사는
생물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사고를 훨씬 초월한 극한 상황에서 사는
생물
은 이 지구상에 얼마든지 있으며 그런
생물
은 지구환경이 어떻게 바뀌어도 계속 살아갈 것임에 틀림없다. 지구상에 서식하는 종의 하나에 불과한 인간은 어떻게 될 것인가 ... ...
이전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