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뉴스
"
새로운
"(으)로 총 11,977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차 플랫폼 연구 ‘한우물’···지역 수평 협력네트워크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1
┃차현록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남지역본부 EV부품소재그룹장 2018년 2월 한국GM은 전북 군산공장을 폐쇄했다. 자동차 공장 폐쇄는 단순히 생산이 중단 ... 빠져나갔다. 일할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전기차 플랫폼으로 지역에 활력소를 불어넣어
새로운
산업의 씨를 뿌릴 수 있으면 좋겠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인간은 어떻게 잠의 세계로 이끌릴까
2020.02.11
없다 필자는 평소 이 주제에 관심이 많고 글의 소재로 여러 번 다뤘음에도 책에는
새로운
통찰을 주는 내용이 적지 않았다. 예를 들어 외출할 때 습관적으로 선글라스를 끼는 건 생체시계를 혼란시킨다. 안 그래도 주로 실내에서 생활해 눈에 들어오는 빛의 세기가 충분하지 않은데 바깥에서도 ... ...
낯선 그곳에서 그날의 공포가 되살아 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공포 반응을 보였지만 약물을 처리하거나 빛을 쬐어 후두정피질 활성을 억제한 쥐는
새로운
환경에서 공포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낯선 환경에서 공포기억이 재발하는 데 후두정피질의 활성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대뇌 후두정피질의 위치. 한국뇌연구원 제공. 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 ...
기존 바이러스 유전체와는 다른
새로운
바이러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2.09
아직 확실하지 않다. 연구진은 “어떤 바이러스가 질병을 유발하는지 알아내는 데
새로운
바이러스 종 연구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과학촌평] 학문 다양성 지탱하는 '두뇌한국'을 기대하며
동아사이언스
l
2020.02.09
돌아볼 일이다. 당장 유망해 보이는 분야를 집중 지원하고 키워 국가의 미래를 책임질
새로운
산업으로 키우고 싶은 마음은 이해한다. 다만 이런 마음이 다양한 학문의 고른 발전을 방해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유행과 상관 없는 뿌리 분야가 소외되는 일은 정부가 강조하는 융복합 분야 ... ...
“신종 코로나 ‘슈퍼전파자’ 존재 가능성 있다...병원내 감염도 유의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2.09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는 2개의
새로운
보고서를 공개하고 혼란과 우려를 유발하는
새로운
사실들을 공개했다. 첫 번째 보고서는 중국 우한 지역 내 138명의 환자 사례를 분석한 결과다. 138명 환자의 연령은 22세에서 92세였으며 평균 연령은 56세였다. 이들은 모두 우한대 중난병원에 1월 ... ...
[표지로 읽는 과학]비료 덜 쓰고 벼 수확량 늘리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0.02.09
이끌어 낼지를 보여주는 훌륭한 예”라며 “이 발견은 지속가능한 식량 안보를 추구하며
새로운
녹색 혁명을 위한 육종 전략을 만드는 길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
[주말N수학]수학돌 '투바투'와 분수의 기원
수학동아
l
2020.02.08
수학동아DB 2009년 걸그룹 f(x)(에프엑스)가 수학과 매우 가까운 그룹명으로 등장한 이래 수학계는 늘
새로운
‘수학돌’의 재림을 기다려왔 ... 말이다. 관련기사 수학동아 2020년 2월,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경배하라,
새로운
'수학돌'이 탄생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
[인류와 질병]신종 감염병의 탄생, 그리고 진화
2020.02.08
그러면 R0가 1보다 낮으면 안심해도 되는 것일까? 물론 초기 감염균주의 R0가 낮으면
새로운
변이가 일어날 가능성도 낮다. R0이 1에 가까워지면 돌연변이의 가능성이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진다. 그리고 이중 일부가 R0를 1 이상으로 높인다면 대유행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무엇을 해야 하는가 신종 ... ...
[프리미엄 리포트] 총천연색 차세대 발광 소자,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2.08
“반응성이 높은 원소를 쓰거나 입자를 손상하지 않는 선에서 반응 온도를 높이는 등
새로운
합성법을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2019년 11월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연구팀은 13족 원소와 15족 원소로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을 만큼 높은 효율과 안정된 수명을 가진 퀀텀닷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 ...
이전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