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원한 맛속에 담긴 식품첨가물을 조심하자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비타민C를 넣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일본에서도 한 때 이러한 방법으로 판매에
성공
을 거두었다고 한다. 알칼리성 음료라는 것도 소비자의 착각을 불러 일으키는 음료 가운데 한가지. "알칼리성 식품을 먹으면 건강에 좋다" "산성 식품을 많이 섭취하면 피가 산성화하여 여러 질병에 걸린다" 라는 ... ...
전문화시대일수록 「교양독서」는 보다 절실하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위대한 과학자의 전기를 읽음으로서 시간과 공간을 추월한 과학자의 고생과 실패,
성공
과 희열, 진리 탐구를 위한 열정과 집념, 과학자로서의 사명감을 접하게 되어 이로부터 많은 것을 배우고 또 과학자가 되려는 각오도 새롭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파브르의 '곤충기' 다윈의 '종의 기원' 등을 읽게 ... ...
넘실대는 전자파의 위험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미치는 여러가지 영향을 보고한 수천건의 논문이 있다. 그러나 논문을 뒤받침할 실험에
성공
하지 못했거나 인과관계가 명확하게 정리되지 않거나 하여 아직까지 전자파의 유해성을 정착시키지 까지는 이르지못하고있다. 그 중에서도 마이크로파와 그 주변의 전파에 대해 한가지 확실한것은 ... ...
물질특허도입에 따른 대응책 특허제도의 선진화가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갈 것인가, 국내외의 특허전략을 범국가적으로 어떻게 대응, 유도해갈 것인가의
성공
여부는 바로 2천년대의 현 수준의 개발도상국으로 제자리 걸음할 것인가, 아니면 이에서 탈피하여 범태평양시대의 주역이 되느냐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종래까지 공업소유권하면 일부 기술분야의 영역인 ... ...
비디오텍스용 한글전자우편시스팀 개발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주고 받을 수 있는 비디오텍스용 한글전자우편 시스팀(Electronic Mailing System)을 개발하는데
성공
했다고 밝혔다. 금성반도체가 개발한 이 시스팀은 이 회사가 생산하고 있는 16비트 업무용 퍼스널 컴퓨터인 GS PC 24에 한글전자우편 기능을 내장한 것으로 가입자끼리 한글로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게 ... ...
세로쓰기 가능한 워드 프로세서개발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기능등 특수기능을 갖춘 문서작성편집전용 소프트웨어인 '워드프로세서 하나'의 개발에
성공
했다고 밝혔다. 이 소프트웨어는 작업자가 의도하는 편집내용을 가장 유사하게 실현해 냄으로써 현재 일반화 돼 있는 영문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한 한글판보다 국내환경에 훨씬 적합한 것으로 알려졌다. ... ...
희귀동식물의 보고 설악산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절종상태에 빠졌었다. 그러나 1978년 이후 자연보호에 힘입어 설악산에서만 사진촬영에
성공
했다. 현재 산양은 세계적으로 국한된 지역에 5종밖에 알려져 있지 않다. 주로 경사진 가파른 바위틈에 사는 산양은 신갈나무 피나무 등을 주식으로 하며 28종의 푸른 잎과 연한 줄기를 먹고 산다. ... ...
과학자의 보람과 좌절이 점철된 연구소 24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산정은 그 속성상 불확실하기 마련이다. 1백번 실험해도 실패할 수 있고 단 두번째에
성공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아뭏든 연구원을 놀릴 수는 없으니까 삭감된 연구비라도 감수할 수 밖에 없다. 자연히 연구결과는 '벽돌집 대신 블록집'이 된다. 과기처로서는 '연구비를 줄여도 하겠다니 애초에 불린 ... ...
AIDS백신, 연내 인체실험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있는 단백질과 아주 비슷한 합성 단백질을 만들어 동물실험을 했다. 동물실험에서는
성공
적이었다. 즉 합성 단백질이 항체를 만들어냈고, 바이러스를 무력하게 했다. 그러나 HIV의 핵의 성질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자꾸 변이를 하고 있어 이 합성 단백질이 인체에 무해 하더라도 역시 효과는 제한적일 ... ...
세계최초 독수리의 눈수술에
성공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4명의 의료팀이 독수리의 눈수술에
성공
했다. 'Eagle 9'이라는 이름이 붙은 장님독수리는 왼쪽눈이 멀었는데 의사들은 각막을 이식해 눈을 뜨게 했다. 캘리포니아주에서는 지난 몇십년동안 독수리종류가 남획으로 급격히 줄자 대대적인 계몽활동과 보호활동을 벌이고 있다. ...
이전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