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9,857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2018.12.08
2010년부터 1년간 박사후과정 연구원으로 지냈다. 사진은 2011년 4월 26일 캘리포니아공대
실험
실 건물 앞에서 아놀드 교수와 함께 촬영했다. 정상택 제공 1992년에는 앤드류 레인지 캘리포니아공대 물리학과 교수와 재혼했고, 이후 2005년 유방암 진단을 받았다. 이런 역경과 변화 속에서도 아놀드 교수는 ... ...
[노벨상 시상식]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2018.12.08
오른 스티븐 추. 연합뉴스 애슈킨 연구원은 은퇴한 뒤 뉴저지주에 있는 한 지하실에
실험
장비를 차려놓고 96세인 지금까지도 연구를 계속해왔다. 최근에는 태양열 에너지와 관련된 특허도 두 개 출원했다. 그래도 이번에 광집게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상을 받았으니, 과거의 억울함은 조금 ... ...
[노벨상 시상식] ‘신의 빛줄기’를 자유자재로
2018.12.08
이후 수차례
실험
끝에 광섬유 길이를 1.4km로 줄이는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CPA를
실험
적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을 뿐만 아니라, 스트리클런드 연구원의 생애 첫 논문이 빛을 보게 됐다. 도나 스트리클런드 교수의 스승이기도 한 제라르 무루 교수는 지금도 세계 고출력 레이저 기술을 ... ...
태아 뇌는 보헤미안 랩소디를 클래식으로 생각한다.과학으로 분석한 퀸 음악
2018.12.08
과학자들은 퀸이 음악이 클래식 음악만큼 예술성과 영향력을 갖고 있는지
실험
을 통해 살펴봤습니다. 스페인의 마퀴츠 산부인과 클리닉 연구팀은 클래식 음악으로 태교를 하는 태아들에게 클래식과 함께 다양한 팝 음악을 들려주고 어떤 반응을 나타내는지 조사했습니다. 임신 18주에서 38주 ... ...
외국 발사체 빌려탔던 ‘우리별 1호’… 3년내 독자기술로 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8년 각각 한 번씩 발사된 KSR-2는 길이 11m의 고체추진 2단 로켓으로 비행 중 2단을 분리하는
실험
까지 성공했다. 자신감을 얻은 한국은 보다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고 원할 때 엔진을 끌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 액체추진로켓에 도전하게 됐다. 2002년 발사된 KSR-3가 바로 국내 최초로 독자 개발한 길이 1 ... ...
달 뒷면에 사상 첫 착륙선…中 ‘창어 4호’ 8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18.12.07
호에 탑재된 달 탐사로봇(로버) ‘광밍(光明)’ 등을 이용해 달 토양에 식물을 심는 온실
실험
도 처음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작은 속씨식물인 애기장대를 달 토양에 심고 온실을 만들어 적정 온도를 맞춰준 뒤 중력이 지구의 16.7%에 불과한 달 환경에서 식물이 자랄 수 있는지 시험한다는 것이다. ... ...
돼지 심장 이식받은 개코원숭이 195일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2000년 실제 인간에게 돼지 심장을 이식하려면 돼지 심장을 이식받은 영장류 대상의
실험
에서 60%이상이 3개월 이상 생존해야 허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간지럼은 왜 탈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타는 것은 또 아니다. 블레이크모어 교수는 로봇으로 간질이는
실험
도 했는데 이때
실험
참가자는 간지럼을 타지 않았다. 눈으로 본 로봇의 움직임은 예측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로봇도 예상을 벗어나도록 속도나 범위를 계속 변화시키면 그땐 간지럼을 탔다. 뿐만 아니라 나를 ... ...
말라리아 치료물질 '울릉도 토종 미생물'이 갖고 있다
연합뉴스
l
2018.12.06
연구팀은 매우 느리게 생장하는 균을 울릉도 흙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했다.
실험
실에서 희귀 방선균 배양을 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 세균 성장을 돕는 특수 물질(선별 배지)을 도입했다. 분리한 균을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보다 매우 긴 기간에 걸쳐 배양한 이후 배양 추출액 성분조사를 ... ...
암흑물질 '윔프' 발견 오류 가능성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결론 내렸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5일자에 발표됐다. 이현수 IBS 지하
실험
연구단 부연구단장과 하창현 연구위원이 연구 내용을 토론하고 있다. -사진 제공 IBS 이번 연구는 윔프가 암흑물질이 아니라는 사실을 증명한 것이 아니다. 20년 전 관측한 입자 신호가 윔프가 아니었음을 ... ...
이전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