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생물"(으)로 총 6,5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성무성어벤져스와 함께한 닥터구리의 민물고기탐사이야기탐사기록 l20160901
- 얼굴과 몸매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시간가는줄 모르고 한밤중까지 민물고기 동정에 빠져들었다. 민물 생태계를 염려하며 열심히 생물종을 관찰하는 성무성어벤져스를 보니 하천 생태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겠다는 마음이 듭니다. 성무성어벤져스와 다음 탐사가 벌써 기다려 지는건 당연한 것 같다. 지구를 사랑하는 모든이들이여 자연을 사랑하는 ...
- [서울 준형제] 160818 전남 여수 순천만 생태습지 집짓는 거미와 관찰 하는 아이들포스팅 l20160818
- 거미가 집을 짓고 있는 것을 관찰하는 아이들.순천만 생태 습지는 특별한 생물들이 많음 ...
- 지사탐 여름 캠프, 북한산의 생물다양성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0812
- 7월 23일 밤 10시 경, 고요하던 북한산국립공원에 큰 웃음소리가 울려퍼졌어요. 무슨 일일까요? 힌트는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지구사랑탐사대 여름 캠프가 열렸단 사실! 깊은 밤, 그곳에서는 과연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요? ...
- 국립암센터를 다녀와서 - 양성자 치료에 대하여기사 l20160812
- 기술평가이전센터, 연구지원팀융합기술연구부, 이행성임상연구부, 기초실용화연구부, 암역학예방연구부, 실험동물실, 생물의약품생산실, 오믹스코어실험실 등 실험실이 있습니다. 진료지원센터, 임상시험센터, 암예방검진센터, 양성자치료센터, 진단검사센터, 간호부, 약제부 등 부속 시설이 있습니다. 환자를 중심으로 11개의 진료센터로 이루어져 있다고합니다. ...
- [전북닥터구리] 대전현장교육이야기탐사기록 l20160808
- 닥터구리 탐사일기 160807 2016.8.7.일 지구사랑탐사대 대전현장교육 어린이과학동아 지구사랑탐사대 대전현장교육날 대전 날씨는 맑고 햇빛이 쨍쨍 3시쯤 소나기가 내려주었으나 여전히 뜨거운 날씨였다. 카이스트에서 팥빙수 하나먹 ... 멋진 과학자가 될 것이다. #동아사이언스#지구사랑탐사대#이화여대에코과학부#장이권교수님#강재연연구원#국립중앙과학관 ...
- [생생취재상] 지사탐 모여라! 여름숲캠프로 고고싱!기사 l20160804
- “우리는 같이 살아요”였습니다. 발표할 때도 저(꿈꾸는지구)는 죽은 나무를, 꽃보다생물사랑팀은 산 나무를, 디에고팀은 땅속 생물을 발표했습니다. 같이 그림을 만들 때도 참 재미있었습니다. 조별로 등수를 발표했지만, 모두가 열심히 노력을 했기에 제 생각에는 모두 공동 1등인 것 같습니다. 정말 다른시간보다 즐겁고 행복했던 지사탐 여름 ...
- 어벤져스 배윤혁연구원과 함께한 탐사기록탐사기록 l20160730
- 탐사일기160729 #배윤혁연구원#이화여대연구원들과 함께 익산과 진안 완주의 생물들을 관찰 탐사했다, 익산에서는 지난 많은비로 인한 농수로의 혼란스러움에 변화된 몇종의 양서류를 관찰했으며 진안에서는 야간탐사를 해서 두꺼비,북방산개구리,뱀잠자리,대벌레,매미우화,여치,선녀벌레,박각시,나방류등등을 보고 관찰했다. 나뭇위를 보다 쌍살벌에게 손가락 ...
- [국립수목원과 함께하는 숲 이야기] 곤충이야, 버섯이야? 동충하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0729
- 여름 숲을 다니다 보면 희한한 생물을 볼 수 있어요. 분명 몸은 곤충인데, 그 위에 풀이 삐죽하게 돋아 있어요. 이처럼 풀이 돋아난 곤충을 보고 옛날 중국 사람들은 ‘동충하초(冬蟲夏草)’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답니다. 겨울에는 곤충, 여름에는 풀이라는 뜻이지요. 신기한 생물 동충하초의 이야기를 들려줄게요~. ...
- 캠프가 끝나고 ~탐사기록 l20160725
- 무렵 전 빗속을 뚫고 실험을 하러 강원도 춘천으로 향했습니다. 비 올때 그리고 밤 탐사는 위험도 따르지만 그만큼 재밌습니다. 이대 연구원들도 이곳에서 처음본 생물들 때문에 엄청 신기해했답니다. 미니 지사탐 같아서 좋았습니다. 이곳에서는 각 종 사슴벌레, 하늘소 그리고 물방개, 산누에나방 각종 양서류 마지막으로 능구렁이 등등을 보았습니다 ... ...
- 지구의 위성, 달에 대해기사 l20160722
- 된다. 다. 자전축이 바뀌면 지구는 극심한 기후 변화로 몸살을 앓게 된다. 밀물 썰물이 사라지는 것도 가장 큰 변화로, 다양한 생물이 살고 있는 갯벌이 말라 없어지며 조력 발전(파도의 힘으로 전기를 만드는 것)도 불가능해진다. 라. 생태계도 큰 변화를 맞게 된다. 흰발농게나 섬게 등 몇몇 동물들은 짝짓기를 하지 못하게 된다. 달이 지구 ...
이전6176186196206216226236246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