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크리스마스트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24호
- 우주에 크리스마스 트리를 만들어 볼까요? 썰매를 끄는 루돌프 사슴도 필요하고, 뚱뚱한 산타클로스 아저씨도 필요하지만 역시 트리를 가득 수놓을 별이 필요하겠죠? 우주에 널린 게 별이라지만 그래도 가장 많은 곳은 구상성단이에요. 구상성단은 수만에서 수백만 개의 별들이 공 모양으로 모인 ... ...
- 우리 다시 볼 수 없을 지도 몰라 - 한반도 멸종 위기 동물들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23호
- 하고 유전자를 통해 멸종하고 있는 야생동물과 식물을 살리기 위한 연구도 할 수 있단다. 한국에서는 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을 만들어 야생 동물들의 유전자가 담긴 동물의 생체조직, 혈액, 세포, 정액, DNA 등을 보관하고 있단다.미국자연사박물관은 곤충에서 고래까지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동물 10 ... ...
- 안형준 기자의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Ⅳ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23호
- 5G를 알리는 음성이 들리자 바닥으로 꺼져 버릴 듯 몸이 천근만근 무거워졌어요. 온 몸의 세포 하나하나가 원심력을 느끼고 있었지요. 피가 다리 쪽으로 쏠리는 것을 막기 위해 ... 우주인 후보는 단 열 명. 이 중 여덟 명은 러시아 가가린우주센터에가게 됩니다. 한국 최초 우주인, 파이팅 ... ...
- 내 뱃속에서는 무슨일이 벌어지고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22호
- 전에 짠 음식은 금물!우유만 먹으면 설사를 해요~!우유에 들어 있는 유당 때문이다. 많은 한국인들이 유당을 소화시키는 소화 효소를 갖고 있지 않아서 설사로 아까운 영양소를 그대로 내보내고 만다. 영양의 보고인 우유를 꼭 마시고 싶다면 유당을 분해해서 소화가 잘 되도록 만들어 놓은 우유가 ... ...
- 별을 보며 꿈과 희망을!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22호
- 한국천문연구원은 지난 10월 28일과 29일 이틀 동안 열린 제주도 서귀포 행사를 마지막으로 올해 크고 작은 별 축제를 모두 마쳤습니다. 과학의 달인 지난 4 ... 확대되어 어린이들을 맞이할 것입니다. 우리나라 어린이들 모두가 우주를 사랑하는 그 날까지 한국천문연구원은 노력할 것입니다 ... ...
- 모바일이 꿈꾸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22호
- 점심 시간, 점심을 먹은 동우는 휴대전화를 꺼내 영국의 메기에게 동영상 메일을 보낸다. 한국의 역사에 관심이 많은 메기에게 오늘은 국립중앙박물관에 가서 직접 찍은 동영상을 보내 주기로 했다.초고속을 자랑하는‘와이브로’덕분에 한 시간 분량, 1기가바이트 용량의 자료를 순식간에 보냈다. ... ...
- 나를 닮은 봇 VS 로봇을 닮은 나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22호
- 등을 수술할 때 쓰이고 있어. 사람과 닮은 휴머노이드 로봇내 키는 125㎝, 몸무게는 55㎏. 한국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이야. 키는 어린이들과 비슷하지만 조금 무겁지? 그래도 한 시간에 1.25㎞를 걸을 수 있단다. 내 뒤를 이어 아인슈타인의 얼굴을 닮은 알버트 휴보가 태어났고, 몸무게 100㎏의 사람을 ... ...
- 안형준 기자의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Ⅲ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21호
- 동료는 우주인의 꿈을 접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당신은 어떻게 하겠습니까?Introduce yourself한국 최초 우주인이 러시아의 소유즈우주선을 타고 가는 곳은 국제우주정거장(ISS). 세계 각국의 우주인들과 함께 이 곳에서 일주일 동안 생활하기 위해서는 영어실력은 필수겠죠.후보들은 영어인터뷰 ... ...
- 살아 쉼쉬는 녹색의 도시 --유럽의 환경생태도시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21호
- 우리나라에서도 0년 전부터 시행되어 도시 주변의 환경보호에 큰 공헌을 하고 있다."한국에는 불과 몇 년 사이에 새로 생겨난 도시들이 많지요. 서울은 인구 1000만명이 넘는 거대한 도시구요. 이탈리아에서 그런 도시의 모습은 상상할 수도 없습니다. 도시가 거대해질수록 환경은 그만큼 ... ...
- 수성의 태양면 통과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21호
- 지구에서 봤을 때 수성이 태양면을 가로질러 갈 때가 있습니다. 이 때 망원경으로 보면 수성이 검은 점으로 보입니다. 이 현상은 11월 9일 새벽 4시 12분에 시작해서 9시 10분까지 벌어집니다. 해뜨는 시각이 7시 5분이니까 약 2시간 동안 볼 수 있는 셈입니다. 다음 수성의 태양면 통과는 2016년 5월 9일에 ... ...
이전6176186196206216226236246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