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스페셜
"
가능
"(으)로 총 6,718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
2015.02.23
저녁에 더 왕성하게 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저녁이나 야식은 지방으로 몸에 쌓일
가능
성이 크다는 말이다. ● 긍정적인 프레임 선호 1981년 미국 스탠퍼드대 심리학과 아모스 트버스키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의 심리학과 대니얼 카너먼은 학술지 ‘사이언스’에 ‘의사결정의 ... ...
광우병 소고기, 가짜 건강식품 한 번에 찾아낸다
2015.02.23
결과 97%까지 정확도가 높아졌다. 연구진은 추가 연구를 통해 거의 모든 식품에 적용이
가능
하게 만들었다. 황금숙 연구원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사업으로 관련 연구를 꾸준히 진행해 오고 있다”며 “식품 원산지 단속의 정확도를 한층 더 끌어 올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 ...
명품화장품은 좋은 원료에서 나온다
KOITA
l
2015.02.23
전망도 나왔다. 국내 연구원이 중국기업으로 옮기는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역수출
가능
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의미다. 한 기업관계자는 “중국기업 관계자들이 한국에서 잘 팔리는 화장품을 소개해 달라고 하더니 작년부터는 인수할만한 한국 화장품기업을 소개해 달라고 한다”고 우려했다.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말이다. 세포분열이 왕성한 조직일수록 실수가 일어나는 횟수도 많기 때문에 암이 생길
가능
성도 높다는 것. 다음으로 연구자들은 ‘기타 위험성 지수(extra risk score, 줄여서 ERS)’를 정의했다. 즉 평생에 걸친 특정 유형의 암 발생률과 해당 조직의 줄기세포 분열 횟수(상용로그값)를 곱한 값이다. ... ...
눈(雪) 위의 스포츠! 스키와 스노보드 정복하기
KISTI
l
2015.02.16
한다. 마찰력이 없으면 경사지를 내려오면서 속도가 점점 높아지고 결국에는 통제 불
가능
한 상태에 이르기 때문이다.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속도를 유지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스키와 스노보드는 미끄러져 내려오면서 속도를 높이되 적절한 순간에 턴(turn)이라는 회전 운동을 ...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KOITA
l
2015.02.16
교수는 “전쟁에 관한 국제법이나 교전수칙을 지키도록 로봇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도
가능
하다”며 “윤리적인 로봇 시스템을 도입하면 전쟁터에서 발생하는 민간인의 희생을 줄일 수 있다”고 반박한다. 그의 말을 증명하려는 듯, 5월 14일 미군은 로봇에 도덕을 가르치는 연구를 위해 미국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지구의 물과 소행성의 물에서 D/H비율이 비슷하다는 건 두 물이 같은 기원을 갖고 있을
가능
성이 높다는 뜻이다. 흥미롭게도 태양의 D/H비율(태양풍에 포함된 물분자를 분광학적으로 측정)은 0.00002로 지구의 7분의 1에 불과하다. 따라서 현재 바닷물이 지구 형성 과정에서부터 존재한 물이었다고 보면 ... ...
[Tech & Design] 놀라운 인공물질들
KOITA
l
2015.02.09
가능
했다. 이쯤되면 거대한 좀비다. 이런 대규모 프로젝트를 영국 혼자서 진행하기란 불
가능
에 가까웠기에 미국과 캐나다도 함께 참여했다. 그러나 항해 중 파이크리트 구조가 변형되는 점, 예상보다 강도가 부족한 점, 막대한 펄프 소모량으로 종이 생산에 차질을 주는 점, 구조 보강에 필요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있을 정도의 숫자로 늑대가 복원된다면 이들이 먹이를 따라 인가 주변을 서성일
가능
성이 높고 거칠고 날쌘 야생동물보다 훨씬 쉬운 먹잇감인 가축이나 가금류에 한 번 맛을 들이면 그 유혹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다. 게다가 이들이 유일하게 두려워하는 대상인 사람은 법 때문에 구조적으로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아이와 부딪치거나 팔을 휘두르다 선반 위 도자기를 떨어뜨려 깨면 로봇에게 화를 낼
가능
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제 소셜로봇의 도입은 불가피한 상황으로 보인다. 돌봄을 받아야하는 사람들이 갈수록 늘어나기 때문에 사람만으로는 수요를 감당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사실 필자처럼 ... ...
이전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