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493건 검색되었습니다.
"UAE 화성탐사선 성공은 실패 공유하는 문화 만든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2.02.27
성공을 위해서는 개발자들이 서로의 실수를 공유하는 문화가 전제돼야 한다.
미국
은 오랜 기간 우주개발을 통해 서로의 실수를 허심탄회하게 얘기하는 문화가 형성됐지만 UAE도 처음에는 이런 문화를 만드는 게 어려웠다. 랜딘 책임자는 “실수를 공유해 고칠 방법을 알아내고 모두가 함께 배우는 ... ...
특이한 여자 친구의 손
팝뉴스
l
2022.02.26
제공
미국
의 한 유머 사이트에 화제가 된 후 여러 SNS로까지 퍼진 사진이다. 여자 친구의 손을 촬영했다고 하는데, 첫눈에는 무엇이 특별한지 알 수가 없다. 자세히 봐야 인기 비결을 알 수 있다. 손가락이 지나치게 길다. 손바닥과 비교해보면, 사람이 이렇게 손가락이 길 수 있을까 싶다. 또 ... ...
[인터뷰] 생체 모방으로 탄생한 친환경 약물 패치
과학동아
l
2022.02.26
좋아했던 박 교수는 대학 시절 모더나의 공동설립자이자 세계적인 석학인 로버트 랭거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가 분자 크기의 작은 물질을 체내에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는 기사를 읽고 약물 전달체 연구에 매료됐다. 지금도 박 교수의 연구실 한편에는 그의 연구에 영감을 준 랭거 교수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가짜뉴스에 쉽게 빠지는 사람의 특성
2022.02.26
동아사이언스DB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백신에 관한 가짜 뉴스부터 특정 음식이 효과에 좋다는 주장까지 수많은 정 ...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기관지 세포 파고드는 오미크론의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22.02.26
오미크론은 우려 변이 지정 후 놀라운 속도로 전 세계로 퍼져 나갔다. 국내를 포함해
미국
과 영국, 일본 등 전 세계 각지에서 확진자가 급증했다. 과학자들은 오미크론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여러 연구를 진행해왔다. 가령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는 지난해 12월 네이처에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강화학습 이용한 자유구조 메타표면 설계 제안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2.26
대한 사전지식 없이도 최적 구조를 발견할 수 있음을 보였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미국
화학회(ACS) 포토닉스’ 2월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문승현 전 총장(지구환경공학부 교수) 정년 퇴임식이 24일 열렸다고 25일 밝혔다. 일리노이공대 박사 학위를 받고 1994년 GIST ... ...
남극 해빙 관측이래 최저 면적 기록...전 세계 해수면 상승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이 빙하는 3~5년 내 붕괴돼 전 세계 엄청난 해수면 상승을 초래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국립빙설자료센터 예비데이터에 따르면 남극 해빙면적은 지난 2월 23일 193만7000㎢(하늘색 그래프 오른쪽 끝지점)으로 기록되며 역대 최저 면적을 경신했다. 기존 최저면적은 2017년 3월 약 211만㎢(빨간색 선)였다. ... ...
열기 무서운 금고
팝뉴스
l
2022.02.25
제공
미국
의 최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주목 받은 사진이다. 사진 촬영자는 6개월에 집을 사서 이사했다고 한다. 그런데 최근 놀라운 것을 발견했다. 스토브를 뜯었더니 그 아래 금고가 있었다는 것이다. 그야말로 비밀 금고다. 저 안에 무엇이 들어 있을까. 돈이 아니라 어떤 비밀을 ... ...
이수만 SM 총괄프로듀서, KAIST 초빙석학교수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도모하고 미래 엔터테인먼트 시장을 주도하는 창의적 협업을 수행한다는 계획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이 프로듀서는 전산학부 초빙석학교수로 임용됐다. KAIST의 학부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는 리더십 과목의 특강을 맡으며, 학내 메타버스 관련 연구에도 ... ...
2029년 아포피스 탐사는 왜 한국의 독자 우주개발을 완성하는 '화룡점정'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확보가 요구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미국
과 일본은 이미 소행성 탐사에 성공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이, 일본은 하야부사 2호가 샘플을 채취해 지구로 가져왔다. 2029년 아포피스가 지구에 접근할 때 궤도를 표시했다. 아포피스는 지구에 3만 2000km 까지 접근하며 지구 ... ...
이전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