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세부적으로 아직 이견이 존재한다.또한 아직 한반도에서 대륙충돌이 일어났다는
직접
적인 증거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즉 충돌을 좀더 명확히 증명할 수 있는 지질학적 증거가 더 발견돼야 하는 것이다. 대륙충돌의 증거로는 과거 암석 속에 숨어있는 초고압 광물이 있다.충돌 증거 찾기 두개의 ... ...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혜의 갯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볼 수 있다. 그들은 한반도에서 정착해 살면서 서해 벌판에 바닷물이 들어오는 것을
직접
목격했을 것이다.여기서 오해하지 말아야 할 점은 우리 조상이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살았던 사람은 아니라는 것이다. 최초 한반도인은 그 전, 수십만년 전에도 있었다. 다만 이들은 한반도에 정착하지 못했던 ... ...
4층 높이 전자현미경 대덕에 등장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과학교사를 위한 다양한 과학캠프를 운영해왔다. 과학캠프에서는 연구원들이
직접
개발한 실험장치와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했는데, 참가한 학생들에게 인기가 매우 높았다.이에 힘입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그동안 축적된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부터 ‘첨단장비 활용 연구 체험프로그램’을 ... ...
유전자 발현 동영상 포착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이용하면 항암제 같은 분자가 살아있는 세포 안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직접
보면서 확인할 수 있어 신약 개발에도 큰 도움이 될것”이라고 예상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좀더 쉽게 알아볼 수 있는방법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성과는 3월 5일자 ‘셀’지에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대표적 온라인게임 '리니지'도 여기에 속한다약물을 지지체에
직접
담아 피부를 통해
직접
투여하도록 만든 치료제아픈 부위를 자극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해 통증을 없애는 일종의 진통제인체가 자극을 받으면 수용체가 반응해 어느 수준까지는 통증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이 상태까지를 통증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뜸들이는 동안에도 고온 상태가 오래 유지되기 때문에 맛을 내는 데에도 제격이다.불이
직접
닿는 바닥면 두께도 밥맛에 영향을 미친다. 연구팀은 솥바닥을 각각 11등분해 각각의 두께를 쟀다. 그러자 대부분의 무쇠솥에서 바닥은 두껍고 가장자리로 가면서 얇아진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바닥이 ...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용하거나,
직접
우주공간으로 나가 건설작업을 한다. 이런 우주유영은 우주방사선을
직접
맞아야 하고 임무와 안전수칙 준수에 극도로 신경을 써야 하는 무척 힘든 작업이다. 1회 우주유영에 몇kg씩 체중이 줄어들 정도다. 국제우주정거장에서는 현재까지 50시간, 완성까지는 1백10시간의 ... ...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수 있겠습니까. 아니면 과학정책을 만드는 사람이 하겠습니까. 그 역할은 과학자들이
직접
맡아야 합니다.”황 교수는 과학대중화에 헌신하고 있는 서울대 최재천 교수를 소개하면서 사이언스나 네이처에 논문을 발표하는 것만큼 중요한 과학자의 일을 하고 있는 분이라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 ...
조류에서 인간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구분이 잘 되지 않을 정도로 충실히 재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브라운관 TV는 형광면에
직접
빛을 쏘는 방식인 반면, 프로젝션 TV는 내부에 들어 있는 브라운관 또는 액정 패널에 맺힌 상을 반사경으로 확대해 내보내는 투사 방식이다유전자가 발현하는 정도를 늘려주는 촉진인자다DNA염기서열 중에서 ... ...
살아 숨쉬는 갯벌에서 느끼는 감동과 전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생명감을 갖고 있다.갯벌 생물에 대한 백 소장의 관심은 사진찍기에만 머물지 않았다.
직접
채집하고 표본을 만들어 연구하면서, 외국에서 동물생태학을 공부한 학자들이 한국의 자연환경과 생태계의 특성에 대해 잘 모르는 부분까지 끝없는 관찰과 탐사를 통해 하나씩 밝혀냈다. 그가 전국의 ... ...
이전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