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d라이브러리
"
지금
"(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로그래밍을 대하는 자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없었고,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48KB 램을 내장했다. 48M B도 아닌 48KB였다. 전원을 켜면
지금
의 도스와 같은 코드 입력 표시가 떴다. 이 컴퓨터에서는 베이직 언어만 알면 누구나 쉽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었다. 프로그래머 혼자서 프로그램의 처음부터 끝까지 만들어내는 일이 일반적이었다. 때문에 소위 ... ...
Intro. 2040년, 하늘길이 바뀐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NASA)은 최근 미래형 여객기가 될 후보 비행기 3종을 선정해 발표했다.미래의 하늘길은
지금
과 얼마나 달라질까. 그때가 되면 우리는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 30년 뒤의 미래에 펼쳐질 하늘길을 날아가 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40년, 하늘길이 바뀐다Part 1. ... ...
Part 1. 날개 접었다 폈다, 출퇴근용 변신 비행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교통수단이 항공기 위주로 발전할 것이라는 사실은 누구나 동의할 것”이라고 했다.
지금
은 어느 집에나 한 대씩은 있는 자동차도 처음에는 위험하고 불안한 기계였다. 문제는 부족한 기술력을 높이기 위해 얼마나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느냐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40년, 하늘길이 ... ...
생명의 밥상 vs 재앙의 밥상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0만 마리씩 살고 있다는 글을 읽고 나니 오늘 밤부터 무엇을 베고 자야 하나 걱정도 든다.
지금
누가 나에게 ‘빈대 붙어 살고 있는지’ 궁금한가. 여기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 ...
나로호 3차 발사 2012년으로 연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한국 최초 우주로켓 ‘나로호’의 세 번째 발사가 2012년 진행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나로호 2차 발사 실패의 원인규명을 ... “이 원장은 올해 말로 임기가 끝나기 때문에 사실상 3차 발사가 내년으로 넘어간
지금
물러나는 편이 낫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밝혔다 ... ...
“올 여름 남태평양 가자” 열대해양체험단 모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과학동아와 한국해양연구원이 열대해양체험프로그램에 참가할 체험단을 모집합니다.한국해양연구원은 매해 여름, 학생 체험단을 선발해 남태평양에서 열대바다 체험프 ... 지닌 열대바다 속 과학의 신비를 직접 체험하고, 바다에 대한 꿈과 열정을 펼칠 독자들은
지금
바로 도전하세요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시달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병든 집 증후군의 원인을 색다른 시각에서 찾았다. “
지금
까지 건축은 사람들이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발전해 왔습니다. 건물을 설계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최소한의 움직임과 짧은 동선이었죠. 하지만 그런 건축물로 인해 사람은 게을러지고 ... ...
스마트 라이프 만드는 차세대 이동통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효율을 높이는 사회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4세대가 아직 상용화되지도 않은
지금
벌써 스마트 라이프를 추구하는 5세대 이동통신 기술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세상이 얼마나 스마트해질지 궁금해진다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한 마리가 아닙니다!) 민달팽이가 아니라 점균류라고 불리는 아메바 군체입니다.
지금
저희 모습은 단세포 생물인 아메바가 수만 마리 모인 결과죠.사회자: 자연은 정말 신기합니다. 아메바 군체 선생님, 그럼 대표 한 분이 어떤 농사를 지으시는지 설명해주시죠. [➊ 단세포 생물인 아메바는 ... ...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개발되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박상덕 한국 생산기술연구원 민군실용로봇사업단장은 “
지금
까지 만든 로봇은 다른 기계장치의 부품을 빌려서 만든 것과 마찬가지”라며 “인공근육이 실용화된다면 로봇공학은 비약적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내다 봤습니다.사실 ‘인공근육’이라는 개념은 꽤 ... ...
이전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