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스페셜
"
크기
"(으)로 총 1,274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시리스-렉스' 3억km 밖 소행성 베누 '터치다운' 표본 채취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0.21
10분 후 하강을 늦추고 소행성 자전 속도와 탐사선 속도를 일치시켰다. 이후 2층 건물
크기
인 ‘마운트 돔’이라는 바위를 지나 11분간 목표 지점인 ‘나이팅게일 분화구’로 이동한 끝에 내려앉을 수 있었다. 오시리스-렉스가 6월 진행한 표면 접근 시험의 모습이다. 당시 오시리스-렉스는 표면 4 ... ...
NASA 탐사선 오시리스-렉스, 20일 소행성 '베누' 표본 채집 생중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왔다. 오시리스-렉스가 착륙하게 될 베누의 나이팅게일 분화구 위에 오시리스 렉스의
크기
를 표시했다. NASA 제공 이 과정을 거쳐 오시리스-렉스는 16m 폭의 나이팅게일 분화구를 착륙지점으로 정했다. 이 지역은 건물 2층 높이의 ‘마운트 돔’이라는 바위가 존재하는 등 임무에 방해가 되는 바위가 ... ...
작년 노벨상 수상자 논문 조작설에 과학계 떠들썩…한국인 연구자 포함 '파장'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때 쓰는 ‘웨스턴블롯’의 데이터 이미지다. 젤에 단백질을 넣고 전기를 걸면 단백질의
크기
에 따라 이동 거리가 변하는데, 이를 통해 원하는 단백질의 발현 여부와 양을 가늠한다. 서멘자 교수팀의 논문 다수에서는 이 데이터를 복제해 데이터가 없는 다른 곳에 그대로 붙이거나, 이미지를 ... ...
세계 최대 규모 실험으로 은하 형성과 진화 이론 가장 사실적으로 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KISTI 제공. 기존의 세계적 규모의 우주론 유체역학 수치모의실험에서 가상 우주 공간
크기
의 한계로 우주 거대구조의 성장과 은하 진화와의 상관관계를 제대로 규명하기 어려웠다. HR5는 모의실험의 규모를 크게 확장해 ‘표준우주모형’에 근거한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가장 사실적으로 재현했다. ... ...
전기차 6분이면 90% 충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보여 고출력 이차전지 개발의 기대감을 높였다. 강병우 교수는 “기존에는 입자의
크기
를 줄이는 방법을 이용했기 때문에 에너지 밀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빠른 충전 또는 방전 속도, 높은 에너지 밀도, 긴 성능 유지 시간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를 ... ...
[과학게시판]'우주전파환경 콘퍼런스' 온라인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FESTA는 국내 독자개발 중소형원자로 SMART의 안전성과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49분의 1
크기
로 축소 제작한 대형 실험장치다. 국내 산업계에 FESTA가 개방되는 것은 처음이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과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하는 ‘2020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2’가 이달 19일부터 ... ...
[표지로 읽는 과학]100년 만에 구현한 상온 초전도
동아사이언스
l
2020.10.17
전선을 만들면 전기를 손실 없이 보낼 수 있어 전기 제품의 효율을 높이거나
크기
를 작게 만들 수 있다. 전기 저항이 0이 되면 초전도체는 내부로 들어오는 자기장을 밀어내는 ‘마이스너 효과’가 나타난다. 초전도체를 이용해 레일을 만들면 마찰과 소음이 거의 없는 연료 효율이 높은 ... ...
[인간·공감·AI]조난자 소리, 원하는 가수 목소리 콕 찍어 키워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6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아 획일적인 음을 들려준다. 김 교수는 “실제로 사람은 머리
크기
와 모양, 귓바퀴의 모양 등 소리와 관련된 조건이 모두 천차만별”이라며 “이를 고려해 개인의 귀 형태나 신체 특성을 고려해 음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머리 둘레 등 7가지 측정치를 ... ...
16일 오전 남극 상공에서 옛 소련 위성과 중국 로켓 파편 충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있는 위협 요소가 됐다. 실제로 2015년 한국의 ‘과학기술위성 3호’는 당시 생성된 20cm
크기
파편이 44m 거리까지 접근해 충돌 직전까지 가기도 했다. 올해 국제우주정거(ISS)은 우주 쓰레기와 충돌을 피하기 위해 세 차례나 궤도를 수정했다. 전문가들은 재활용 로켓 개발 등 로켓 기술이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 일상 방역망 ‘마스크’ 감염·증세·사망자 모두 줄여
2020.10.14
더 잘 막는다고 밝혔다. 남덴마크대 연구진도 두 겹의 천 마크스가 0.3마이크로미터
크기
까지 에어로졸을 11~19% 막는다고 밝혔다. 반면 미국 듀크대 연구진은 지난 8월 논문에서 얇은 폴리에스터나 스판덱스 재질의 목토시는 오히려 입에서 나가는 침방울을 더 잘게 만들어 안 하느니만 못하다고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