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이
아동
어린애
유아
자식
꼬마
아기
스페셜
"
아이
"(으)로 총 792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난과 불공정
2018.02.17
고마운줄도 모르고 분수에 맞지 않는 걸 원한다고들 성토했던 사건이 떠올랐다. 옆집
아이
가, 또는 자기 자식이 요즘 유행하는 패딩을 원해도 분수에 맞지 않는 걸 원한다고 생각했을까? 가난한 사람에게 적합한 대우, 가난한 사람에게 적합한 꿈이 어디까지인지 사회가 명확한 선을 긋고 있는 것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
2017.12.19
‘망각의 기술’에서 “여성이 출산하며 겪은 고통스런 기억을 억압하지 않는다면, 둘째
아이
를 갖는 여성의 수는 아주 적을 것이다”라고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다음으로 인출유도망각으로 비슷한 범주의 여러 기억이 있을 경우 하나를 떠올리는 게 다른 것의 기억을 지우는 현상이다. 예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뒤 성냥불로 입구를 녹여 밀봉한다!)를 제출했고 기생충 검사를 한 뒤 기생충이 있는
아이
들은 기생충약(구충제)을 받아 복용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기생충은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졌고 이번 사건이 나기 전까지 기억 저편으로 사라졌다. 아마도 구충제 복용과 함께 농부들이 비료로 인분 ... ...
[지뇽뇽의 사회심리]당신은 꼰대입니까?
2017.11.17
훨씬 대단했다고)” 나이가 들수록 본인은 어렸을 때에도 참 괜찮았던 거 같은데 요즘
아이
들은 영 아닌 거 같다는 생각도 하기 쉬운 것 같다. 내 주변 사람들도 벌써 하나둘씩 그런 이야기를 하고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여기에도 함정이 있으니 우리의 ‘기억’이란 반드시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 ...
우리는 부족하기에 서로의 용기가 된다
2017.11.14
안타깝게 여겨서
아이
의 새로운 지지자 겸 가족이 되어주었다. 저자는 이 여성에게 이
아이
는 힘든 일을 많이 겪었으니 많은 걸 기대하지 말라는 이야기를 했다. 혹시 가능한 실망을 방지하기 위한 이야기였을 것이다. 여기서 여성의 답은 이랬다. “우리 삶은 다 한번쯤 엉망진창일 때가 있고 그것은 ... ...
정말 남자가 더 위험추구 성향 높나
2017.11.04
생각해왔기 때문이었다. 생각해보면 초중고 시절 시끄럽게 떠내려가는 교실 안에는 남자
아이
들의 소리 역시 매우 컸다. 지하철에서 떠나가라 큰 소리로 통화하던 사람, 회식 자리에서 떠나가라 소리를 높이던 사람들, ‘내가 왕년에 말야~’하고 한 번 시작하면 혼자서 똑같은 이야기를 수십번씩 몇 ... ...
맞고 자란
아이
가 '사랑의 매' 더 신봉한다
2017.10.28
사랑과 이해심, 끈기, 차분함, 대화를 통한 설득이
아이
들을 더 행복하고 사회성 좋은
아이
로 만들어 줄 것이라고 했다. 폭력이 적고 사랑과 격려가 좀 더 많았더라면 조금 더 행복한 사람이 될 수도 있었을까? 적어도 10대 시절이 좀 덜 험난했을 거 같긴 하다. 또 한 가지 안타까운 사실로 어렸을 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짐작할 수 있다. 글래스고대에서 강사로 지내며 드레버는 이론물리학자들이 제안한
아이
디어를 확인할 수 있는 실험을 구상하는 재미에 푹 빠져 지냈다. 그러던 중 1969년 미국 메릴랜드대 조제프 웨버 교수가 은하중심에서 중력파를 검출했다는 소식을 접한 드레버는 더 정밀한 장비를 만들어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
2017.09.26
단계 낮추고 자신의 삶 자체를 좀 더 성실하게 살아가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아이
는 자신을 향한 부모의 백 마디 말보다 부모의 진지한 삶의 태도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으므로.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성장 과정에서 주입된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즉 여섯 살만 돼도 여자
아이
는 남자
아이
에 비해 자기 성이 정말 똑똑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는 비율이 낮다고 한다. 그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에 벌써 ‘수학은 남자의 공부’라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히게 된다. 결국 수학이나 물리과학에 흥미가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