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장
장롱
마켓
창자
장농
농
페이지
뉴스
"
장
"(으)로 총 3,82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사] 연세대의료원
동아사이언스
l
2023.03.02
△재활의학과
장
이태임 △병리과
장
최윤정 △진단검사의학과
장
김희정 △핵의학과
장
김현정 △영상의학과
장
정수윤 △입원의학과
장
경태영 △방사선 안전관리의사 김현정 △보건관리의사 박병진 △수혈관리실
장
최승준 ◇재활병원 △재활의학과
장
이상철 ◇심
장
혈관병원 △심
장
내과
장
... ...
[인사] 중앙대의료원
동아사이언스
l
2023.02.27
◇중앙대병원 △부원
장
김한구 △기획조정실
장
박광열 △진료부
장
정재우 △기획담당(부실
장
) 김성환 △진료담당(부실
장
) 박병관 △대외협력담당(부실
장
) 겸 국제진료센터
장
김 ... △인재개발담당(부실
장
) 박용범 △의료정보담당(부실
장
) 조준환 △QPS팀
장
백현주 △고객경험팀
장
황은 ... ...
[일상 속 뇌과학] 아는 음식 맛 참기 어려운 과학적 이유
2023.02.24
필요가 있을 것이다.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
장
※필자소개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에서 근무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 ...
[오늘과학] 진동 캡슐이 변비 환자 희소식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식사 일정 등 하루 일과에 맞게 개인화하는 것을 연구하고 있다. 또 음식이 위
장
에서 소
장
으로 이동하는 것을 늦추거나 멈추는 또 다른 고통스러운 상태인 '위 마비' 환자를 대상으로도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 ...
"소형원전 수출하려면 마케팅 시작해야...인허가 뒤에는 늦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어렵다"며 "미국은 가동 중 정비가 가능해 95~96% 가동률을 유지한다"고 말했다. 황 사
장
도 "2017년 공극이 발견된 한빛 4호기가 5년 넘게 멈추며 전반적인 가동률이 엄청나게 떨어졌다"며 "가동률 10% 포인트는 국내에서 원전 3기를 더 돌리는 만큼의 차이"라고 말했다 ... ...
장
과 신
장
연결한 인공 모사체, 3D 바이오프린팅으로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동물실험 대체용 인공
장
기 제작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라며 “향후 맞춤형 인공
장
기 시제품 제작 및 상용화를 신속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포스텍 제공 ... ...
불면증 개선 모바일 앱, 국내 첫 디지털치료기기 허가
동아사이언스
l
2023.02.15
15일 식약처 관계자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품목허가를 받은 불면증 디지털치료기기를 시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국내업체가 개발한 불면증 개선 ... 현재 개발된 가이드라인은 불면증 5종으로 올해 주의력결핍 과다행동
장
애(ADHD)와 섭식
장
애 관련 가이드라인을 추가 개발할 계획이다 ... ...
'지구사랑탐사대'가 이어준 인연...생태 연구자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2.13
프로젝트다. 2012년 동아사이언스가 발행하는 와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장
이권 교수팀, 그리고 어린이를 포함한 가족으로 구성된 80여 명의 대원들로 출발하였으며, 약 10년간 2만여 명의 시민과학자들이 참여해 14만 건의 데이터가 모였다. 지구사랑탐사대가 수집한 데이터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조류, 탄소제로 게임에 구원투수 될까
2023.02.07
상쇄 효과를 잘 살펴야 한다. 수년 전 완도를 여행할 때 그림처럼 펼쳐진 해조류 양식
장
의 풍경에 감탄한 기억이 난다. 최근 K푸드가 인기가 많다는데, 해조류가 뜨면 한층 더 세계의 주목을 받지 않을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오·폐수에서 전기와 식수 동시에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7
수질을 식수 수준으로 향상시키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장
선임연구원은 "물부족 문제 해결과 친환경 에너지 생산이 동시에 가능한 신기술로 수질 관리시스템 및 비상전력 시스템으로 응용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윤태광 명지대 교수팀과 함께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