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전자공학"(으)로 총 9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유전자 변이 15분만에 진단하는 휴대용 칩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9.03.26
- 키아나 아란 미국 캘리포니아주 케크대학원 응용생활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과 그래핀을 활용해 15분 내로 유전자 변이를 검출하는 휴대용 장치를 개발했다는 연구결과를 이달 2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의공학'에 실었다. 케크대학원 제공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Cas9) ...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이 만든 잡종으로 산호 멸종 막는다.동아사이언스 l2019.03.24
-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분홍빛의 산호초를 22일 표지로 실었다. 표지 속 분홍빛 덩어리들은 곧 난자와 정자를 뿜어낼 것으로 보인다. 산호초는 산호충의 분비물이나 유해인 탄산칼슘이 퇴적되어 만들어진 암초로 햇빛이 풍부하고 수온이 높은 열대 바다에서 많이 자란다. 최근 ... ...
- 제23회 한국공학한림원 대상에 이상엽 KAIST 교수동아사이언스 l2019.03.18
- 제23회 공학한림원 대상 및 젊은공학인상 수상자들. 왼쪽부터 이상엽 KAIST 교수, 김종희 포스코 수석연구원, 채찬병 연세대 언더우드특훈교수. 사진제공 한국공학한림원 바이오 플라스틱을 개발해 오늘날 가장 큰 위협으로 다가온 플라스틱 환경 문제 해결에 큰 공헌을 한 이상엽 KAIST 특훈교수가 한 ... ...
- “유독한 환경-스트레스가 치매 일으켜” 류훈 KIST 뇌과학연구소 단장동아사이언스 l2019.03.18
- 류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경과학연구단장은 미국과 한국의 의대와 연구소에서 퇴행성 뇌질환을 연구해 왔다. 스트레스 등 환경이 치매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있다. 윤신영 기자 세계 의학의 심장, 미국 보스턴대 의대에서 교수를 하다 국내에 온 치매 전문가는 금기가 없었다. 아침부 ... ...
- '차세대염기서열분석' 정확도 높일 오류검증 방법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3.06
-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권성훈 교수, 염희란 연구원, 이용희 연구원(오른쪽부터)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 DNA 변이의 정확한 분석을 돕는 검증기술을 개발했다. 암을 조기에 진단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권성훈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와 염희란 이용희 연구원 연구진은 매우 낮은 비 ... ...
- 유전자 ‘다이어트’한 합성대장균으로 더 많은 단백질 생산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3.05
- 대장균. 사진제공 위키미디어 마치 전자기기를 조립하듯 세포를 원하는 대로 합성해 바이오연료나 생리활성물질, 당뇨치료용 인슐린 같은 물질을 생산하는 유전공학 기술을 ‘합성생물학’이라고 한다. 국내 연구팀이 최근 합성생물학 기술을 이용해 기존 대장균과 성장속도가 비슷하면서 유용 ... ...
- ‘30억명 중 범인 후보 60명 찾는 실력’ 염기교정 가위 정확도 밝혀동아사이언스 l2019.03.05
- 이번 연구를 이끈 공동 제1저자 김다은 서울대 화학부 연구원(왼쪽)과 김대식 IBS 유전체교정연구단 연구위원(가운데), 그리고 교신저자인 김진수 수석연구위원. 사진제공 IBS 아메리카와 유럽, 아프리카의 인구를 모두 더하면 약 30억명이다. 지금 드론을 수천 대 띄워서 딱 한 사람의 범인을 급히 찾 ... ...
- 생명연, 전문연구단 개편… 5개에서 4개로동아사이언스 l2019.03.04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미래혁신기술 선점과 국민생활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연구단 체제를 5개에서 4개로 개편한데 이어 연구단별 운영계획을 확정하고 책임 운영 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생명연은 2016년부터 연구원들이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는 연구환경을 조성 ... ...
- 中, 유전자편집 관련 생명공학 법안 초안 공개동아사이언스 l2019.02.27
- 작년 10월 8일 허젠쿠이 연구진의 일원이 실험실의 컴퓨터에서 배아 이미지를 보고 있다. AP/연합뉴스 지난해 11월 과학계를 놀라게 한 ‘유전자 편집아기’에 대해 중국 정부가 유전자 편집 기술과 관련된 생명공학 법안 초안을 공개했다. 국가 지침을 위반하며 연구를 진행한 허젠쿠이 중국 남방과 ... ...
- 난치성 질환 원인 점 돌연변이, ‘나노 눈사람’으로 빠르게 진단동아사이언스 l2019.02.26
- 연구팀이 개발한 금 나노입자에 탐지용 DNA 가닥과 환자 샘플 속 DNA가 결합한 모습. 여기에 점 돌연변이를 찾는 뮤트S 단백질(파란색)이 결합했다. 이 과정을 빛을 이용해 측정하면 점 돌연변이 여부와 그 종류를 알 수 있다. 사진 제공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암을 비롯한 심각한 질환은 보통 유전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