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탄력
탄성
회복력
검댕
유연성
그을음
부드러움
뉴스
"
유연
"(으)로 총 1,205건 검색되었습니다.
업계가 주목하는 차세대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어디까지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6.22
“리튬이온 배터리에 들어가는 분리막 소재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얇게 만들 수 있고
유연
한 전지를 만드는 데도 유리하다”고 말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여러 장점이 있는데도 리튬이온 배터리에 먼저 자리를 내줬다. 액체 전해질처럼 전도도가 높은 소재를 발견하지 못해 에너지를 많이 ... ...
공룡의 알, 다 딱딱했던 건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마크 노렐 미국 자연사박물관 연구원팀은 남미와 몽골에서 발견한 다른 두 공룡의 알이
유연
하고 부드러운 껍질을 가졌다는 분석결과를 이달 17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줄리아 클라크 미국 텍사스대 지구과학부 교수 연구팀도 남극에서 발견된 축구공 크기의 공룡 알이 부드러운 ... ...
요가 초고수의 자세
팝뉴스
l
2020.06.14
제공 보통 사람은 절대 불가능할 것 같다. 타고난
유연
성과 근력이 꼭 필요할 것이다. 또 정말 피나는 훈련이 없으면 안 될 게 분명하다. 화제의 사진 속 남녀는 네티즌들을 놀라게 만든 포즈를 취했다. 기이하면서도 예술적인 자세다. 사진은 미국 캘리포니아 베니스에서 활동하는 요가 ... ...
손 안 대고 기체로 반도체 한꺼번에 조립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1
이를 활용해 기판에 두께 편차가 있더라도 압력을 균일하게 가해 가로세로 30cm의 넓은
유연
반도체 패키지 패널을 오차 없이 균일하게 조립하는 장비를 완성했다. 또 1초에 약 20도의 온도를 고르게 올리거나 내리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두 가지 기술을 포함해 반도체칩을 효율적으로 조립하는 제작 ... ...
우리 아이 스마트폰 중독 어쩌나… "가족과 끈끈해져야"
연합뉴스
l
2020.06.11
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과의 감정적 유대인 '결속력'과 상황 변화에 대처하는 가족의
유연
성인 '적응력'을 척도로 가족 기능을 분석한 결과, 중독도와 가족 기능장애 간 연관성이 나타났다. 가족 기능이 좋을수록 점수가 높아지는 척도로 중독도별 그룹을 조사한 결과 '중독 위험군'은 5.80±3.2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흑인을 볼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6.09
뇌는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인종을 쉽게 식별할 수 있게 얼굴 인식 회로를 구성하는
유연
성을 지니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다른 인종 효과라기 보다는 ‘낯선 인종 효과’가 맞을 것이다. 한국 아기가 미국 백인 가정에 입양돼 백인 사회에서 자라면 아기 때부터 늘 보고 자란 백인들의 얼굴을 쉽게 ... ...
와인 ‘떫은 맛’ 구분하는 ‘전자 소믈리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농도와 달리 1리터 용액에서 용질의 몰을 말한다. 고현협 교수는 “저렴하고
유연
한 재료를 이용해 떫은 맛을 감지하는 전자 혀를 개발했다”며 “제작이 간편해 식품, 주류,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드 어드밴시스’ 6월 ... ...
온도 따라 스스로 열 차단 스마트 윈도우 ‘급속광소결’ 공정으로 상용화 이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뿐만 아니라 표면에만 열을 가하기 때문에
유연
기판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김 박사는 “
유연
기판은 유리 상전이 온도가 120℃인데 기존 소결 기술을 활용하면 기판이 녹아버리는 문제가 있었다.”며 “급속광소결은 40~60℃가량의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공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기판이 녹는 ... ...
털 나고 피지 생기고 촉각까지 전달...인공피부 탈모치료 새 길 열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보호하고 외부 병원균의 칩입을 막는 기능도 한다. 피부는 질기면서도 신축성 있고
유연
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피부는 다양한 기능을 하다보니 20종 이상의 세포가 여러 층으로 배열된 형태를 갖는 등 구조가 복잡하다. 쾰러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18년 줄기세포로가 피부를 형성하는 초기 ... ...
메모지처럼 붙이고 가위 잘라도 빛나는 LED 패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4
LED 패널에
유연
성을 줄 때는 미세블레이드나 레이저로 박막 LED를 작게 만든 후
유연
한 기판에 이를 배열하는 방식이 쓰인다. 작게 만든 LED를 떼어내기 위해서는 화학약품을 이용해 깎아내는 ‘식각’이나 레이저 조사를 통해 기판과 LED의 화학적 결합을 깨트리는 과정이 필요하다. 작은 힘에도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