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d라이브러리
"
지점
"(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계산했습니다. 동시에 로봇의 ZMP(무게 중심에 작용하는 모든 모멘트의 합이 ‘0’이 되는
지점
)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깔았습니다. 로봇이 스스로 중력과 관성력을 계산해 발바닥을 딛는 위치와 속도 등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죠.다음으로 소개할 것은 우리 가게에서 가장 큰 규모를 ... ...
불심에 담긴 수학을 찾아 황금의 땅 미얀마로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사원 밑면 중심으로부터 사원의 높이만큼을 한쪽 변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으면 그 끝
지점
이 바로 물웅덩이의 위치가 됩니다. 과연 이 물웅덩이를 처음 만든 사람이 이런 원리를 이용해 위치를 정했는지는 알 수 없었지만 물웅덩이 하나로 모든 이의 머리를 숙이게 만든 지혜로움이 참으로 ... ...
뇌의 미시순환계를 보는 장치, 한국인이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동시에 할 수 있다.송 교수는 “산화아연 미세광 전극체를 다발로 묶어 뇌신경의 여러
지점
에 꽂으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뇌신경 활동을 측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메소드’ 10월 12일자에 실렸다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4월 25일 처음 발생한 규모 7.8의 대지진은 카트만두에서 북서쪽으로 약 81km 떨어진
지점
에서 일어났다. 연구팀은 이 지진을 일으킨 히말라야 단층지대 바로 위에 설치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과 인공위성에서 측정한 자료를 토대로 지진이 일어난 70초 동안의 기록을 분석했다. 그 결과 단층이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원통의 가운데에서 두 개의 빛이 교차하도록 레이저빔을 설치한 다음, 초파리가 그
지점
을 지나면 그림자가 생기도록 실험 상자를 설계했어요. 초파리는 갑자기 생긴 그림자를 보면 포식자가 공격하는 것으로 착각해요. 그래서 도망치기 위해 빠르게 비행경로를 바꾸지요. 연구팀은 1초에 7500장의 ... ...
세계의 지붕이 흔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인공위성을 이용한 지진 예측을 시도하고 있어요. 단층 주변에 GPS를 설치해 각
지점
이 얼마나 움직이는지 위성으로 관찰하는 거예요. 다른 속도와 방향으로 움직이면 지하에 힘이 쌓이면서 지층이 부서질 테니까요. 하지만 아직 뚜렷한 성과가 나오지는 않았어요.한편 일본의 과학자들은 지진을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선택한다. 이 속도를 ‘유효 속도’라고 한다. 지그재그인 길은 겉보기와 달리 사실 목표
지점
으로 가는 가장 빠른길이다. 요트를 유효 속도가 가장 빠른 길로 정확하게 움직여야 경기에서 이길 수 있다.바다 위에서 요트의 현재 상황에 맞는 유효 속도를 매번 계산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매 상황에서 ...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아는 식물학자의 화성에서 먹고살기탐사대원 마크 와트니는 화성 북위 31.2°, 서경 28.5°
지점
의 아시달리아 평원에 ‘혼자’ 남았다. 기계공학자이자 식물학자인 와트니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써 살아남을 계획을 세운다. 만약 지구와 교신해 자신이 살아있다는 사실을 알리지 못한다면 와트니가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비율이 달라지면 띠의 곳곳에 에너지가 쌓인 정도도 달라진다. 띠의 모양은 띠의 각
지점
의 에너지 분포에 따른 결과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화장실로 간 수학자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Part 3. 벽과 바닥에 숨은 ... ...
[Life & Tech] 세상이 궁금한 수원청개구리의 외출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어두워진 뒤, 5명의 연구원이 수조를 나눠 들고 논에 들어갔다. 논둑으로부터 2m 떨어진
지점
에서 뚜껑을 열고 기다리자, 수원청개구리가 시차를 두고 논으로 숨어들었다. 이미 7월 중순과 8월 초에 각각 20마리와 50마리를 방사했기 때문에, 이 논에서만 모두 150마리의 수원청개구리가 자연으로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