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시"(으)로 총 3,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새 탐사선] 파커 솔라 프로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그는 코로나의 온도가 100만℃ 이상으로 특별히 높은 이유를 설명하는 이론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1950년대 당시에는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태양풍의 존재를 예측했어요. 이후 각종 탐사선과 위성을 통해 실제로 태양풍이 관측되면서 그의 예측이 증명됐지요. 과학자들은 이번 탐사를 통해 ... ...
- Part 3. [미션 1] 코로나의 수수께끼를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파동 현상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어요.두 번째는 파커 교수가 제시한 이론으로, 태양 표면의 ‘나노플레어’가 코로나에 에너지를 전달한다는 거예요. 태양 표면에서는 플레어라는 거대한 폭발이 일어나는데, 그보다 더 작은 규모의 나노플레어가 더 자주 발생해요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10.4304/jmm.1.3.42-51). 이 연구에서 힌트를 얻어 목격자에게 얼굴형에 대한 다양한 후보군을 제시한 뒤, 기억나는 대로 전체적인 인상을 선택하게 했다. 그리고 ‘대화형 진화연산(Interactive Evolutional Computing)’ 기법을 적용해 여러 단계를 거칠수록 점점 더 목격자가 기억하는 용의자의 얼굴로 닮아가게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필수적으로 두창 백신을 맞는다는 점 등을 근거로 북한의 생화학 무기 생산 가능성을 제시했다. 평양 강남군에 설립된 평양생물기술연구소는 농약 생산에 특화된 곳으로, 수천 t(톤)의 비료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고 있다. 노동신문에 공개된 사진에서는 최신식 장비들이 눈에 띈다. 문제는 ... ...
- 20년의 노력, 문화재를 살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제대로 보수하자는 취지였지만, 일반적인 석조 문화재 수리 방법론과 기술적 방향을 제시해 보자는 취지로 발전했다”고 밝혔다. 미륵사지 석탑의 기준은 ‘남조척’건축물을 지을 때는 기준이 되는 수치가 필요하다. 과거에는 이를 ‘척’이라고 했다. 한 척을 30cm라 하고 건물 한편의 길이를 1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삽입한 뒤, 뇌 표면을 따라 부착하는 방법으로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뉴럴링크의 궁극적인 목표도 역시 머리 밖에서 뇌로 직접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생물학적인 뇌 신경망과 반도체 회로망을 연결하는 것은 간단한 일은 아니다. 우리 뇌는 신경세포의 ... ...
- [Career] 우리만 가졌다 차세대 전극 제조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교수는 이동화 박사과정 연구원과 함께 차세대 전극 개발 방식을 독창적으로 제시해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다. 쉽게 녹스는 구리나노선, 그래핀으로 감싸디스플레이나 태양전지는 반도체를 이용해 전기로 빛을 발생시키거나 빛으로 전기를 만든다. 따라서 반도체와 전선 역할을 하는 전극의 ... ...
- [과학뉴스] 아토피 피부염이 스트레스 늘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아토피 피부염이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수면장애를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박건혁 한국한의학연구원 선임연구원(현 엑토스인터스트리 대표)과 대구한의대 공 ... 아토피 피부염과 수면 장애의 관계를 규명해 아토피 피부염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빨리 배부르고 싶다면 OOOO 먹어라!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체중 감량을 하려는 모든 이들에게 식단 조절은 매우 어려운 과제다. 그런데 적게 먹으면서도 쉽게배가 부를 수 있는 방법을 과학자들이 찾았다. 영국 워 ... 새로운 역할을 찾아냈을 뿐 아니라 건강하게 체중을 감량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doi:10.1016/j.molmet.2017.08.01 ... ...
-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만들어진다는 것이지요. 해밀턴은 개구리와 육식 동물인 뱀이 살고 있는 가상의 연못을 제시했습니다. 연못 바닥에서 살고 있는 뱀은 식사 시간이 되면 수면 위로 올라와 개구리를 잡아먹습니다. 개구리는 뱀이 나타나기 전에 연못 위로 도망갑니다. 그러나 뱀은 예측하지 못한 곳에서 불쑥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