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d라이브러리
"
저자
"(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리가 잡은 살인범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한 굵직한 범죄 사건을 중심으로 법과학과 과학수사의 진면목이 생생하게 펼쳐진다.
저자
는 신발자국과 타이어자국 분석, 치아와 컴퓨터 안면복원을 통한 신원확인, 핏자국과 독물학을 이용한 증거분석 등 범죄의 동기와 범인의 신원을 알아내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한다. 책을 읽다 보면 주변의 ... ...
과거 위대한 문명들은 왜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미국의 몬태나주 역시 비슷한 이유로 열악한 상태에 처했거나 위기에 놓여있는 곳들이다.
저자
가 꼽는 대표적인 성공사례는 도쿠가와 막부 시대의 일본과 뉴기니의 고원지대. 이들은 산림을 잘 관리해 생태계를 보전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농업 생산을 유지했다는 것이 그의 결론이다.풍부한 ... ...
황우석 줄기세포, 줄기 꺾이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면서 “박기영 대통령정보과학기술보좌관은 2004년 논문의 공
저자
이기 때문에 조사를 주도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까지 주장했다. 이에 정부는 “저널이 내정간섭까지 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반박했다.가장 큰 우려는 세계줄기세포허브의 운영에 차질이 있지 않을까 하는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2M1207b를 처음 촬영한 성과가 실린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지 논문에는 송 박사도
저자
로 포함됐다. 학술적으로 2M1207b의 공동 발견자로 인정받은 셈. 관측 결과 2M1207b는 목성보다 3, 4배 큰 질량을 가진 행성으로 밝혀졌다. 송 박사팀도 조만간 좋은 결과를 보여줄 것으로 전망된다. 그는 “현재 허블 ... ...
하룻밤에 읽는 줄기세포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곧바로 해결할 수 있도록 ‘Q&A’ 형식으로 구성한 점이 눈에 띈다. 줄기세포의 전문가인
저자
들이 직접 제공한 사진과 다양한 자료가 돋보이며, 꼼꼼한 일러스트는 줄기세포의 여러 주제를 한 눈에 이해하기 쉽도록 꾸며져 있다. 무엇보다 아직도 ‘줄기세포는 식물의 줄기처럼 생겼다’고 생각하는 ... ...
침팬지에게서 사람의 향기를 느끼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침팬지의 고환은 신체 비율을 고려하면 인간에 비해 10배나 크다. ‘정자 전쟁’의
저자
인 영국 맨체스터대의 로빈 베이커 교수는 “침팬지는 다른 수컷의 정자를 물리치기 위해 많은 양의 정자를 생산하도록 고환이 진화했다”고 쓰고 있다.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스반테 파보 ... ...
고양이를 사랑하는 과학적 방법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거실 벽에 오줌을 뿌리고 다니는 이유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직접 고양이를 키우는
저자
가 경험한 흥미로운 에피소드가 과학적 정보 사이에 녹아들어 책에서 눈을 떼기 어렵게 만든다. 곳곳에서 드러나는 유머 가득한 문체도 고양이의 복잡다단한 특성을 쉽게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 ...
기상천외한 생물들이 여기 다 있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기생한다고 한다.일본에서 이 책 한 권으로 ‘생물 연구계의 이단아’라는 평가를 받은
저자
는 “이들도 엄연한 지구 생태계의 일원”이라며 오히려 “그들이 우리를 보고 이상한 생물이라고 하지 않을까”라고 반문한다. 일러스트레이터 데라니시 아키라의 그림은 간결하면서도 특징을 잘 잡아내 ... ...
사랑은 키스를 부른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사다리’(word ladder)라 불린다. 이 놀이를 처음 만든 사람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저자
루이스 캐럴이다.우선 문제의 답은 다음과 같다.HEAD → HEAL → TEAL → TELL → TALL → TAIL수학퍼즐에 웬 영어퍼즐이냐고 의아해 하는 분들이 있겠지만, 별 것 아니게 보이는 이 놀이는 의외로 전산학에 큰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소속 한국인 24명 외에 미국 피츠버그대 의대 제럴드 섀튼 교수도 참여했기 때문.
저자
들은 난자 제공자를 법적으로 보호하고 동의 양식도 연구와 불임치료 목적을 구분할 것, 저널은 불법이나 비윤리적 내용을 싣지 않도록 규정을 마련할 것, 난자 제공자나 환자들이 ‘치료용 복제’라는 용어를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