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업"(으)로 총 3,871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하는데, 셀을 조립해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최소 단위인 ‘모듈’을 만들고, 작업의 효율을 위해 모듈을 조립해 사용 여건에 맞게 설치한 것을 ‘어레이’라고 한다. 태양광 발전의 경우 사실상 연료 고갈의 위험이 없다는 점, 별도의 연료비가 들지 않는다는 점, 환경오염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고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문제는 2010년대 초부터 증폭 제어 기술이 발전하면서 점차 해결되기 시작했다. 일일이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단일 세포 분리 기술도 자동화되면서 동시에 샘플 수만 개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됐다. 이로써 단일 세포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수 있었다. 김 교수는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단일 세포 ... ...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재료의 한 지점에 초점을 정확히 맞춰 하나의 복셀을 굳히고, 다음 복셀을 굳히는 작업을 차례로 반복하며 전체 조각을 완성한다. 완성된 조각상은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만 감상할 수 있다. 허위츠는 이 과정을 “양자 물리학(quantum physics)과 예술의 만남”이라고 설명했다 ... ...
- 국제우주정거장(ISS) 아찔했던 사고 5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다시 펼쳤고, 임시로 태양열을 막을 수 있는 파라솔을 설치하는 대대적인 수리 작업을 벌였다. 다행히 수리는 성공적으로 끝났고, 스카이랩 내부 온도도 정상 범위로 떨어졌다. 이후 스카이랩에서는 171일 동안 9명의 우주비행사들이 머무르며 태양 관측을 포함해 무중력 상태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매우 복잡했다. 빛을 100% 흡수하는 이상적인 물질을 2000 도 가까운 고온에서 측정하는 작업도 만만치 않았다. 게다가 1960년대 레이저가 발명되고 1970년대 극저온 복사출력계가 개발되면서 단파장에서 나오는 빛의 출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었다. 이에 표준 ... ...
- [과학뉴스] 구름을 입체 지도로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평소 우리는 계절과 날씨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다양한 모습의 구름을 볼 수 있어요. 그런데 눈이나 위성으로 관측하는 것만으로는 구름의 입체적인 모습 ... 연구하거나 악천후에서 항공기가 비행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3차원 기상도를 만드는 작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어요 ... ...
- Part 1. 참고래, 땅에서 꺼내던 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직접 조심스럽게 작업했고, 묻어 있는 흙은 솔로 일일이 털어냈어요. 아쉽게도 이번에 작업하는 참고래는 지느러미뼈와 갈비뼈가 없는 상태였답니다. 참고래는 왜 땅속에 묻혔을까?참고래는 지구상의 동물 중 대왕고래 다음으로 큰 몸집을 지닌 대형 포유류예요. 현재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돼 ... ...
- Part 3. 참고래, 골격표본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과정이에요. 서늘한 곳에서 자연 건조 방식으로 골격의 물기를 없애는 거지요. 이번에 작업하고 있는 참고래는 현재 연구센터 옆 별도의 공간에서 말리는 중이에요. 하지만 건조 과정에서 골격 일부가 뒤틀리며 망가질 수 있어요. 그래서 골격의 변형을 최대한 막기 위해 제습기를 가동해 창고 안을 ... ...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오월드 동물원에서 ‘호롱이’라는 이름의 암컷 퓨마 한 마리가 탈출했습니다. 수색 작업을 벌였지만, 호롱이는 결국 사살됐습니다. 호롱이 사살로 여론이 들끓었고, 이는 동물원 폐지 논란으로까지 이어졌습니다. 과학동아는 이와 관련해 독자 여러분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자 10월 11일 오후 2시 3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부분이 85%라고 생각해보라. 밀 게놈을 최대한 길게 조각내서 맞춰 봐도 만만치 않은 작업이다. 이는 밀이 벼, 보리와 차례로 갈라져 진화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종끼리 교잡을 반복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보리의 게놈이 2배체(2n=14, HH)인 것과 달리 밀은 6배체(2n=6x=42, AABBDD)다. 서로 다른 세 종류의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