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민수
사람수
인원수
머릿수
전국인구
전국
d라이브러리
"
인구
"(으)로 총 1,499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도 회사의 주인이 될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금융시장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사람들은 유태인입니다. 유태인은 세계
인구
의 0.2%밖에 되지 않지만 세계 100대 부자의 20%를 차지하며 세계의 돈줄을 쥐락펴락하고 있지요. 유태인은 어떻게 세계 금융시장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갖게 됐을까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신문이나 방송에 많이 ... ...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16km이고 진원 깊이는 13km에 불과해 지진의 위력이 막대하게 전달됐다. 이 강력한 지진은
인구
밀도가 높은 아이티의 수도 포르토프랭스를 무참히 파괴했다. 과거 몇 세기 동안 큰 지진이 없었어도 큰 지진 일어날까큰 지진 전에는 몇 가지 전조가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전진(前震)이다. ... ...
네안데르탈인, 미적 감수성 있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이런 상징적인 유물들이 거의 나오지 않은 건 그들이 상징 능력이 떨어져서가 아니라
인구
밀도가 낮아 상징적 의사교환의 필요성이 적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
심장박동 패턴 해석하려면 IT도 알아야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Consilience)’의 구를 인용하며 융합과학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환경이나
인구
과잉처럼 우리가 부닥치는 대부분의 문제는 자연과학적 지식과 인문·사회적 지식이 통합되지 않고는 해결될 수 없다 ... ...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죽어가고 있어. 벼는 물론이고 밀과 옥수수까지 모두 병충해를 입은 탓에 전세계
인구
의 절반이 배를 곯고 있단다. 얼마 전에는 새로운 바이러스가 나타났는데 치료제를 얻을 동식물이 없어…! 이대로 가다가는 수만 명의 사람들이 죽을지도 모르는데…. 정말 절망적구나. 하…아하아, 게다가 여기는 ... ...
CSI 수사체험 ‘지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아니다’에 가깝다. 지문이 서로 같을 확률은 약 600억 분의 1 이하라고 한다. 지구의
인구
가 약 68억명 정도이니 나와 지문이 같은 사람은 한 사람도 없다고 볼 수 있다.그렇다면 일란성 쌍둥이조차 지문이 서로 다를까?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하나의 수정란이 2세포기 때 둘로 나뉘어 각각 ... ...
타임머신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올라가면 당시의
인구
가 현재
인구
보다 대략 100만 배나 많게 됩니다. 현재보다 과거의
인구
가 훨씬 많았던 것일까요? 물론, 그렇지 않습니다.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겹치는 사람을 모두 다 셌기 때문입니다. 모든 부모가 한 명의 자식만 낳는 것은 아니거든요. 나의 부모님은 형의 부모님과 똑같은 ... ...
한민족 조상, 동남아에서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태평양 섬나라도 포함한다. 2차 프로젝트가 마무리되면 좀 더 정밀하게 아시아
인구
이동을 보여주는 지도가 탄생할 전망이다.이번 연구에서는 말레이시아 북부와 필리핀 등에 아프리카 흑인과 유전자를 많이 공유하는 흑인 계열 민족이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국립보건원 형질연구과 이종영 ... ...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발전할지는 미래 사람들의 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단다. 우선 저출산으로 노인
인구
가 늘어나면서 쉽고 간편하게 열 수 있는 포장이 필요할 거야. 또 소수로 구성된 가정과 일하는 엄마를 위해서 소용량 포장, 냉동식품 포장, 전자렌지 포장 기술도 중요하겠지?미래의 포장, 과연 어떤 모습일까 ... ...
뉴욕에서 서울까지 아이 러브 지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사이에 지구 문명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는 걸 알 수 있었어. 1900년에 18억 명이었던 세계
인구
는 이제 60억 명이 되었대! 게다가 1900년에 대량 생산되기 시작한 자동차가 이제는 매우 당연한 교통수단이 되었지. 편리한 생활을 누리기 위해 우리가 너무 많은 에너지를 쓰고 있는 건 아닐까? 이어지는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