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제
카피
사본
모사
전사
베끼기
등사
d라이브러리
"
복사
"(으)로 총 1,161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얻는 방법은 이보다 훨씬 복잡한 규칙을 갖고 있다.어쨌든 프로그램 역시 생명체처럼
복사
를 통해 다양함을 얻을 수 있다. 컴퓨터의 메모리 속에 생명을 창조하려는 과학자들은 이미 오래 전에 자신의 복제 과정에서 의도적인 변이를 일으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게다가 건방진 인형사는 인간의 ... ...
위조방지기술의 결정체 화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눈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울 만큼 아주 작은 크기로 특정 글자를 반복 인쇄함으로써
복사
기나 스캐너 등이 이 글자의 형태를 재현하면 글자가 뭉치거나 깨져 형태를 알 수 없게 하는 효과가 있다. 1만원권 앞면의 측우기 아래쪽에는 ‘한국은행’의 미세문자가 1줄당 14개씩 2줄로 28개가 들어 있다. ... ...
국내 최초 렌티큘러 표지 탄생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종이면 위에 있다. 이를 기준으로 쪼갠 부분 그림을 조금씩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그림을
복사
해놓는다.이때 왼쪽 눈이 보는 그림을 만들 때는 가까운 사물의 경우 오른쪽으로, 멀리 있는 사물은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런 후 이 그림을 전체로 합성한다. 반대로 오른쪽 눈이 보는 그림을 만들 때는 ... ...
늘어진 가지에 담긴 애달픈 사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는 한자로 꽃 화(花)에 버들 류(柳)를 쓴다. 옛 유원지에 흔히 심는 버들에 그네를 매고
복사
꽃, 오얏꽃을 배경으로 치맛자락을 펄럭였으니 숫총각 이몽룡으로서야 금세 정신이 ‘몽롱’해질 수밖에 없다.평양의 기생방에 유행하던 화류가의 첫머리는 ‘화류간에 노든 벗님, 이 내 말씀 ... ...
화성에서 발견한 물의 진실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화성에 얼음이 정확히 얼마나 있을지 측정할 수는 없다.또 과학자들은 오디세이호의 열
복사
영상시스템(THEMIS)으로 이전에 확인됐던 화산 지역에 아직도 온기가 남아있는지를 알아보고 싶어한다. 만일 화성 표면 아래에 온기가 남아있다면, 이로 인해 얼음으로 가득한 영구동토층이 녹고 그 안에 ... ...
빅뱅과 인플레이션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보이는 온도의 미세한 불균일함으로 실제 관측됐다. 물질의 밀도가 우주배경
복사
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초기 밀도의 이런 불균일함은 후에 은하나 은하단으로 자라났다. 팽창하는 우주에서는 어디에서나 서로 간의 거리가 멀어지고 특정한 중심이 없다. 또 빅뱅 이후 ${10}^{-35}$ 초 후 ... ...
인간의 체온은 왜 37℃일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땀의 증발, 그리고 공기의 대류작용에 의해서다. 그러나 수중에서는 피부표면으로부터
복사
와 증발이 일어날 수 없기 때문에 피부를 통한 체열손실은 주로 대류작용에 의해서 일어난다. 하지만 물은 공기에 비해 열전도도가 25배이기 때문에 공기 중보다 체열이 월등히 빨리 손실된다.보통 사람이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시기 이후 물질로부터 처음 분리된 빛이 바로 우주배경
복사
다. 당시 3천K이던 우주배경
복사
는 현재 2.73K로 관측된다.4. 숨은 우주와 충돌로 탄생했을까물 위에 떠있는 이파리 같은 우리우주끈이론이 10차원(공간 9차원+시간 1차원)에서 기술된다면, 왜 우리는 4차원(공간 3차원+시간 1차원)만 볼 수 ... ...
에피소드로 알아보는 빅뱅우주론 3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아인슈타인의 가장 큰 실수1917년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론을 전체우주에 적용하면서 고민이 생겼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서로 끌어당기는 ... 했으니 이보다 더 좋을 순 없겠다.우주배경
복사
는 1989년 발사된 미국의 우주배경
복사
탐사선(COBE)이 자세히 관측한 결과, 온도가 2.73K임이 밝혀졌다 ... ...
20세기 초에 나온 끈이론의 원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가장 잘 설명한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아 세계학계에 주목을 받았다. 요즘은 우주배경
복사
에 존재하는 편광현상을 함께 연구중이다.폴 슈타인하르트의 충돌우주론은 사실 국내학자의 아이디어가 바탕이 됐다. 주인공은 한양대 자연과학부 물리학전공의 신상진 교수(sjs@hepth.hanyang.ac.kr)다. 신교수는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