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윗돌
큰돌
암석
돌
암벽
암반
록
d라이브러리
"
바위
"(으)로 총 877건 검색되었습니다.
예비 과학자들의 진로탐색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습곡과 정단층을 식별하면서 암석의 종류를 구별하는 활동을 했는가 하면, 지질망치로
바위
를 깨며 화석을 채집해보기도 했다.이번 캠프에서 또하나 눈에 띄는 것은 학생들의 조별 장기자랑 시간인 ‘과학의 밤’이라는 활동이었다. 이 활동은 과학적 능력 평가와는 무관해보이지만, 학생들의 ... ...
3. 황금꽃으로 다시 피어나는 야생화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방법이 개발됐다. 건조하고 척박한 토양에서 잘 자랄 뿐만 아니라 항암식물로도 알려진
바위
솔 종류들과 고란초를 비롯한 각종 희귀 고사리류, 작은 날벌레들을 포식하는 우리나라 자생 벌레잡이식물인 끈끈이주걱 등의 조직배양법도 개발돼 대량 증식하는 길이 열렸다.야생화의 품종은 어떻게 ... ...
죽음 부른 다이어트 약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박씨는 갑자기 머리가 아프고 입이 바짝바짝 타 들어가며 온 몸에서 열과 함께 가슴이 큰
바위
로 눌리는 것 같은 통증을 느꼈다. 놀란 박씨는 근처 병원으로 달려갔다. 진찰 결과, 무허가 다이어트 약품으로 인한 부작용이라는 것.최근 한달에 10kg 이상을 빼준다는 입소문이 퍼지면서 건강에 치명적인 ... ...
협곡 사이로 흐르는 물리학 '래프팅'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수 있다. 갑자기 물살이 빨라지는 곳에서는 몸이 뒤로 쏠리는 관성력을 받는다. 또
바위
에 부딪히면 몸이 앞으로 쏠리는 관성력을 받는다. 관성력의 크기는 배의 가속도에 비례한다. 즉 얼마나 짧은 시간 동안 얼마나 속도 변화가 심한가에 따라 사람이 느끼는 관성력이 커지고 그만큼 스릴을 느낀다. ... ...
2. 금강산댐 안전성 7대 의문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등 중장비 10대가 굉음과 함께 흙먼지를 일으키고 있었다. 굴삭기가 건너편 바닥의 흙과
바위
를 파내면 덤프트럭이 쉬지 않고 날라 수백m 떨어진 댐 아래쪽 한 귀퉁이에 쏟아붓고 있었다.인적도 드문 강원도 산골에 느닷없는 건설붐이 일어난 이유는 다름 아닌 평화의댐 보강공사 때문이다. ... ...
ET vs 에어리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법이다. 고대의 선원들이 항해하던 바다에는 ‘크라켄’이라는 거대한 괴물이 살았고,
바위
섬에 걸터앉은 사이렌은 노래를 불러 선원들을 유혹했다. 그러나 사람들의 생활 영역이 늘어나면서 괴물들이 영향력을 행사하던 공간은 점점 좁아졌다. 우리는 새로운 괴물을 창조하기 위해 우주 공간으로 ... ...
생명 창조의 기둥 품은 독수리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세우고 무엇을 채러 가는 것일까.최고의 신 제우스에게서 불을 훔친 죄로 코카서스산
바위
에 묶인 프로메테우스를 향해 가는 것은 아닐까. 그리스신화에서 프로메테우스는 신의 모습을 본따 최초로 인간을 창조한다. 인간에게 선물로 주기 위해 제우스의 태양수레에서 불을 훔친다. 화가 난 ... ...
1. 사이버 공간에서 탄생한 무령왕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바닥을 보니 땅이 아니었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사람들은 그것이 일반적인 흙이 아닌,
바위
가 부서진 현상임을 알았다. 사람들은 호기심에 못이겨 그곳을 좀더 깊이 파들어가기 시작했다. 점점 더 파들어가자 검은 벽돌이 나타났고, 결국 아치 모양의 벽돌 구조가 드러났다. 그제서야 사람들은 이게 ... ...
시공을 넘나드는 무인도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채집한다. 김이 없다면 미역이나 다시마로 대체할 수 있다. 두번째, 김을 바닷가 마른
바위
위에 잘 펴서 말리는 동시에 채집한 벌레를 굽는다. 세번째, 잘 구워진 벌레를 마른 김으로 포장한 후 물에 적신다. 이때 소금을 뿌려 간을 맞추면 더욱 좋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손에 들고 있는 것이 벌레가 ... ...
기상천외한 동물의 의사소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의사 소통이 가능하다. 또 장애물도 돌아간다. 시각을 이용하는 경우와는 달리
바위
뒤에서 소리를 내도 다 들을 수 있다. 어두운 곳에서도 가능하다. 많은 풀벌레가 밤에 연주할 수 있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런 장점 때문에 여러가지 복합적인 정보도 그 안에 담을 수 있다.그렇지만 나쁜 점도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