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문"(으)로 총 2,31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하이드로서 수학적 우주를 연구한다. 그렇게 주류 논문 10편을 발표할 때마다 ‘괴짜 논문’ 1편을 쓰는 식으로 이중적인 생활을 하고 있다. 테그마크 교수가 과연 괴짜이기만 한 걸까? 이에 대한 의견은 다양하겠지만, 중요한 건 남들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자신의 상상력을 꾸준히 펼치고 있다는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바뀐다. 히로시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새로 개발한 로봇 손은 차량의 문을 열 수 있을 정도로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다”며 “사람이 양손으로 나이프와 포크를 사용하는 것처럼, 팔 하나가 로봇의 작업 유연성(flexibility)을 드라마틱하게 증가시킨다”고 밝혔다. 두 팔은 ... ...
- [Info]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가 달라집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7개 공통 과목을 배우게 된다는 사실, 알고 계시죠? 문·이과의 구분이 사라지고, 문과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도 ‘통합과학’이나 물리1, 화학1, 생명과학1, 지구과학1 중 한 과목을 필수로 들어야 합니다. 디라이브러리에서는 통합과학의 주요 단원과 키워드를 중심으로 과학동아 기사를 재구성해 ... ...
- Part 1. DNA는 의외로 수다스럽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않는다. 심지어 옷을 빨아도 소량의 DNA는 남아있다.연구팀은 총 549개의 샘플을 통해 문 손잡이, 전등 스위치와 같이 모든 사람이 만지는 공용 물품에서 나온 DNA와 옷, 장갑, 바지 등 개인 물품에서 나온 DNA, 세탁 후 옷에 잔존해 있는 DNA, 범죄 행위를 했을 때 매개체를 통해 남겨진 DNA의 양과 세포 ... ...
- [과학뉴스] 우주 건축물 건설 기술 대회, 한국 우승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디자인, 이번 2단계에서는 우주 현지 재료를 활용해 구조물을 짓는 첨단기술을 겨뤘다. 문 엑스 컨스트럭션 팀은 현무암질의 월면 복제토와, 재활용 플라스틱의 한 종류인 LDPE를 섞어 3D 프린터로 60cm에 달하는 구조물을 찍어냈다. 그 결과 참가한 76개 팀, 결선에 오른 7개 팀 가운데 가장 높은 평가를 ... ...
- Part 1. 우리 집 불청객, 바퀴벌레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택배박스 등)에 붙어서 들어올 수도 있으므로 잘 살펴야 한다. 하수구의 구멍이나 문을 닫았을 때 틈이 너무 크다면 막아두는 것도 좋다. 생존부터 로봇까지 매력적인 연구대상바퀴벌레는 한 번의 교미만으로도 일생동안 알을 낳을 수 있다. 알을 비교적 짧은 주기로 여러 개 낳는데다, 암컷이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이비는 흥분과 기쁨을 주체 못 하는 표정이었다. 뎀베는 바깥에서 큰 소리를 듣고 창문을 열었다. 하늘로 뻗어있는 둥근 콜로니 내벽 여기저기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었고 내부 공기 순환로를 따라 기묘한 막을 만들고 있었다.뎀베는 이런 일이 일어나리라고는 전혀 예상하지 못하고 있었다. ... ...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태양에너지 등을 활용해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 것만으로 심우주 탐사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결국 지난해 11월, 해럴드 화이트 팀장이 이끄는 NASA 존슨우주센터의 이글웍스연구소 연구팀은 진공 상태에서 실험한 결과, 전자기파 추력기가 실제로 작동했다고 밝혔다(doi:10.2514/1.B36120). 원리는 아직 ... ...
- Part 1. 얼마나 ‘슈퍼’하길래?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자동차를 추구하는 람보르기니는 직선 위주의 공격적인 디자인과 매우 낮은 헤드램프, 문이 수직으로 열리는 시저도어가 떠오르고, 페라리는 비교적 곡선이 많고 우아한 형태, 둥근 테일램프가 특징이다. 이런 특징이 자동차의 정체성을 완성한다.구상 국민대학교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교수는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있어 약 60km의 간격으로 트러스트 노드(Trust node)을 두면 한국 내에서 양자통신을 하는 데 문제없다”고 말했다.트러스트 노드는 중간지점에 수신부와 송신부를 같이 두는 것을 의미한다. 원래 거점에서 생성된 암호키를 가지고 있다가, 트러스트 노드에서 한번 더 먼 지점으로 쏘는 형식으로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