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퀘이사 탄생의 비밀은 ‘이웃 은하 도둑질’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나왔다.케빈 샤빈스키 영국 예일대 천문학과 교수팀은 허블우주
망원경
과 스피처우주
망원경
으로 퀘이사를 포함하고 있는 은하핵 30개를 관측한 뒤 이 같은 결론을 내리고, 6월 19일 NASA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연구팀은 우주 초창기인 80억~120억 년 전에 태어난 은하를 집중적으로 관측했다. 이 ... ...
100년의 기다림, 금성일식 현상!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선생님들과 학생들이 관측할 수 있었다는 점이 정말 뿌듯하다. 금성 일식이 일어나는 날
망원경
의 재원 설명과 태양 관측법 설명을 학생들 앞에서 했다는 점은 정말 큰 경험이고 자랑거리가 될 것 같다 ... ...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방문하게 되었다. 그곳엔 호주의 국립전파
망원경
과 자연보호구역이 있다. 먼저
망원경
의 위용을 감상한 후, 자연보호구역을 방문하였다.대형버스 두 대에 나누어 도착한 우리에게 1시간 정도의 자유시간이 주어졌다. 나는 태디와 또 한 명의 젊은 덴마크 학자와 함께 돌아다녔다. 그 넓은 지역 ... ...
우주 불꽃놀이 ‘거대 플레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마에하라 히로유키 일본 교토대 천문학과 교수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
망원경
이 2009년부터 반복해서 관측해온 약 8만 3000개의 태양형 항성의 관측 자료를 분석했다. 이 중 갑자기 밝기 변화가 크게 일어난 별을 골라 원인을 분석한 결과, 0.2%에 해당하는 148개의 항성에서 태양의 1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우주전파에 대해 읽고 흥미를 느꼈다. 그는 홀로 집 뒤뜰에 지름 9m인 접시형 전파
망원경
을 만든 뒤 하늘을 훑어 1939년 전파지도를 만들었다. 전파의 세기를 등고선으로 나타낸 그의 지도를 보면 우리은하의 중심과 백조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강력한 전파가 나옴을 알 수 있다. 훗날 ... ...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미세먼지를 검출하는 장치인 ‘선포토미터’에는 빛을 측정하는 센서가 달려있어. 작은
망원경
이나 CCTV카메라처럼 생긴 선포토미터가 위아래옆으로 180도 회전하면서 사방을 훑지. 그리고 미세먼지가 없을 때와 있을 때 측정된 값을 비교해 미세먼지 양을 알아내는 거야. 이렇게 얻은 값은 NASA가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블랙홀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어 앞으로의 결과가 매우 기대된다.[허셜우주
망원경
의 관측 결과 거대질량 블랙홀이 지나치게 활발해 많은 에너지를 분출하면 온도가 높아져 주변에서 별이 잘 안 만들어진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중심에서 거대한 제트를 분출하고 있는 은하 Arp 220의 ... ...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전파
망원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호주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거대전파
망원경
프로젝트 SKA(Square Kilometre Array) 유치를 놓고 경쟁하고 있다. 25억 달러(약 2조 8000억 원) 규모의 이 거대전파
망원경
은 현존하는 다른 어떤 전파
망원경
보다 50배 이상 선명하고 1만 배 이상 빠를 것으로 예상된다. ...
1919년 경성, 물리학과 첫 졸업식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이끌어갈 후학을 길러냈다. 1928년에는 연희전문학관 옥상에 국내 최초로 현대식 굴절
망원경
을 설치해 교육에 활용했다. 이원철 박사는 1937년 ‘수양동우회사건’으로 일본경찰에 체포돼 학교를 그만두게 되었다. 그러나 8·15 광복 후 연희대(연세대) 교수로 복직하고 이학원장을 맡는다.한국 첫 ... ...
차가운 빛의 세계, 발광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알아 낼 수도 있다. 이를 이용해 몇 광년이나 떨어진 별의 표면 온도를 알 수 있다. [허블
망원경
으로 찍은 메시어9(M9) 구상성단의 사진. 성단을 이루는 별의 색이 다양한 것으로 보아 다양한 온도의 별로 구성돼 있음을 알 수 있다.] 발광-낮은 온도에서 빛 방출하기 백열전구는 열복사를 이용한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