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기"(으)로 총 2,0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물리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의미에 그치지 않는다. 파란색 LED가 실용화되면서 빛의 3원색이 완성돼 LED를 조명기기로 쓸 수 있게 됐고,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세계 전기 소비량의 4분의 1이 조명에 사용된다는 점에서 LED는 에너지 절약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비빔밥 좋아하는 노벨상 ...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잡다한국조폐공사 기술연구원은 히든QR코드와 복사방해패턴 외에도 엠보싱잠상, 스마트기기 인식용 보안패턴, 입체자성패턴 등 다양한 위·변조 방지 신기술을 공개했다(박스 기사 참조). 모든 신기술은 한국조폐공사가 지금까지 축적해 온 요판(인쇄판) 제작술과 인쇄술, 그리고 스마트폰 앱 기술이 ...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여기서 파란색 LED를 만드는 데 중요한 질화갈륨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백색 LED를 조명기기로 쓰려면 지금보다 가격은 낮추고 밝기는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금의 사파이어 기판이 아닌 대규모 질화갈륨 기판 위에서 LED를 만들어야 한다. 현재 질화갈륨 결정을 넓게 만드는 일과 무극성 LED ... ...
- [과학뉴스] 물에 햇빛 쪼이니 수소가 펑펑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이용하면 물에서 수소 대신 전기에너지도 직접 얻을 수 있어 물만으로 작동되는 가전기기, 자동차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는 글로벌프런티어사업단 멀티스케일 에너지시스템 연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 권위지 ‘앙게반테 케미’ 8월 28일자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IoT)보다 훨씬 진보된 개념이다. 일종의 ‘뉴로IT(Neuro-IT)’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외부기기와 뇌가 직접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다면, 사람의 생각만으로도 모든 걸 통제할수 있다.융합형 인재를 기르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나특정 공식에 따라 A, B, C 등 정해진 요소를 단순히 더하고 곱한다고 해서 ... ...
- PART 2. 한 달 만에 인공신장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것”이라고 밝혔다.4 우주 가축, 우주 작물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은 저중력 상태에서 의료기기를 시험 중이다. 제트기의 파라볼릭 비행을 이용해 동물실험을 진행했으며, 곧 미국의 우주개발 벤처인 엑스코에어로스페이스의 준궤도 우주선 ‘링스’를 이용해 실험할 예정이다. 이미 10회 이상의 ...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감염됐다. 미국 정부는 8월 초 ‘에어 앰뷸런스’를 파견한다. 에어 앰뷸런스는 각종 의료기기가 설치돼 있는 ‘하늘 위의 구급차’다. 미국으로 돌아온 두 사람은 현재 신약 지맵(ZMapp)을 투여 받고 호전되고 있다. 수많은 아프리카 희생자와 달리 두 사람이 살 수 있었던 건 미국의 의료기술과 에어 ... ...
- 전자파·방사능 스마트폰으로 본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크기를 알 수 있다. 기자가 시험해 본 결과 사무실에서 가장 많은 전자파를 방출하는 기기는 복사기였다. 거의 하루 종일 바라보는 모니터에서도 일정량의 전자파가 꾸준히 나왔다.전자파의 크기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콘센트의 접지 여부다. FTLAB의 고재준 대표는 "일상 생활에서는 무심코 ...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실험실에 내려갔다. 수 년째 정 박사와 호흡을 맞추고 있는 박정환 박사가 한창 실험 기기를 조율하고 있었다. 큐비트는 어디 있느냐는 질문에 “여기 있다”며 칩을 가리켰지만, 눈에 뭐가 보일 리는 없었다. 흥미로운 것은 극저온 장비였다. 초전도 현상은 0K(절대영도) 부근의 극저온(0.007K)을 ... ...
- 카카오톡 창업자도 산업공학과 출신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사용 후기나 불만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해서 실제 기기의 성능을 개선하는 데 이용하고 있지요. 서울시 심야버스노선이 요새 인기가 많지요? 사용자들의 요구나 동선을 파악해 어떤 노선을 선택해야 가장 많은 승객들이 만족할지 결정하는 데 데이터마이닝이 한몫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