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칙"(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거대 파도가 일어나는 원인, 수학으로 찾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무어 교수는 플로리다주립대의 지구물리유체역학연구소 케빈 스피어 소장과 함께 불규칙한 바닥면을 가진 긴 수로를 만들고 모터를 이용해 무작위로 일으킨 수천 개의 파도를 분석하며 특정한 패턴이 나타나는지 알아봤습니다.그 결과 파도가 ‘감마 분포’라는 수학적 함수를 따른다는 것을 ... ...
- 너무 빨리 움직이는 자북, 이러다 혹시 지자기 역전?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자남이 뒤바뀌는 ‘자기장 역전’이 일어날 가능성은 없을까. 실제로 지구 자기장은 불규칙하긴 하지만 평균 25만 년을 주기로 역전 현상이 일어났다. 자성을 띠는 광물이 포함된 암석들을 근거로 과거 지구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 등을 역추적한 결과다. 가장 최근에 지자기 역전 현상이 일어났던 ... ...
- '약밍아웃' 통해 본 스테로이드 부작용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가진 여성호르몬으로 착각하고, 더 이상 만들어내지 않는다. 그 결과 생리 주기가 불규칙해지고, 임신이 어려워진다. 또한 체내 테스토스테론 농도가 높아져 성대가 커지고, 유방의 크기가 작아지며, 여드름이 심해지는 등 남성의 특징이 나타난다. 청소년기 호르몬 교란 특히 위험해 “요즘 ... ...
- [통합과학 교과서] 꿀록 탐정, 수사에 나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아무래도 심상치 않아…. 왜 이런 일이 연달아 일어날까?” 백설공주님의 집에서 나오는 길에 꿀록 탐정이 되뇌었어요. 어깨에 앉아있던 개코 조수가 대답했어요. “아직 속단하긴 일러요. 사건은 겨우 두 번 일어났잖아요?” “둘 다 정체를 알 수 없는 누군가가 관련되어 있어. 할아버지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나쁜 왕비가 다시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좀비의 움직임을 입자의 움직임으로 여기고 계산한 예측 모델을 발표하기도 했어요. 불규칙한 입자의 움직임을 예측할 때 쓰는 ‘랜덤 워크’ 확률 모델에 대입한 거예요. 또 좀비가 1분당 100㎡(제곱미터) 속도로 퍼진다고 할 때, 좀비와 90m 떨어져 있다면 25분만에 좀비와 맞닥뜨릴 거라는 사실도 ...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윤 선임연구원은 “위키백과는 누구나 편집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세세한 규칙이 많아 진입장벽이 높다”며 “새로운 사용자가 성장할 기회를 주는 보호 장치가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윤 선임연구원은 또 “위키백과가 좋은 집단지성의 사례라는 점은 확실하다”면서도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금수저’ 색안경 벗겨낸 노력파 세르게이 볼코프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물어봐야겠다. 우주에 가고자했던 간절함 모든 일을 완벽하게 준비하고, 모든 규칙을 교과서처럼 지키는 그에게 내가 스트레스로 느껴지지 않았을까. 잘 알려진 것처럼, 2008년 소유스호 발사를 한 달 남짓 앞두고 탑승 우주인이 나로 바뀌는 해프닝이 있었다. 이 글을 핑계로 10년 만에 그에게 ... ...
- [이달의 PICK] 새해 계획 성공하려면? 뇌가 조종하는 도파민 경로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도파민 경로의 생성이 기존 경로의 소멸보다 더 어려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래서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것처럼 새로운 습관을 몸에 새기기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뇌 가소성은 성인보다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뇌가 계속 발달하고 있는 청소년의 경우 도파민 경로의 ... ...
- [전지적 수학 시점] 하스스톤, 확률로 짜는 최선의 전략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새로운 전략을 짤 수 있고, 같은 카드로도 전략에 따라 승패가 갈린다는 겁니다. 단, 규칙을 제대로 알아야 즐길 수 있습니다! 알고 보면 쉬운 하스스톤 규칙! 하스스톤에는 하수인, 주문, 무기, 퀘스트, 영웅까지 총 다섯 종류의 카드가 있습니다. 주로 부하를 소환하는 하수인 카드가 전투를 하고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남은 작은 돌조각들 사이로 두 개의 발가락 자국이 보였다. 매우 작았지만, 같은 모양이 규칙적으로 분명하게 찍혀 있었다. 이 연구의 책임자였지만 안타깝게도 필자는 화석 발견 현장에는 없었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이 찍힌 사진을 휴대전화 메시지로 받자마자, 이 화석이 두 개의 발가락으로만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