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 뉴스] 선사시대 예술 모임 장소는 모닥불 앞?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현장에서 발견되는 석회암의 색깔과 비슷하다는 것에서 단서를 찾았어요. 연구팀은 두 곳의 석회암을 비교해 발굴된 돌들이 불 근처에서 어떤 식으로 배치돼 있었는지 추정했지요. 이 정보를 통해 당시 사람들이 따뜻하고 밝은 불 앞에 모여 예술 모임을 가졌을 것이라 추측하고, 그 모습을 컴퓨터로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천문대 갖고 싶어? 직접 만들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않으면 모든 좌표는 ‘상대좌표’로 설정돼요. ‘상대좌표’는 플레이어가 있는 곳을 기준점 좌표인 (0, 0, 0)으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다른 위치의 좌푯값을 표시하는 방법이에요. 건축물을 코딩으로 만들 때 상대좌표를 사용하면 플레이어의 위치에 바로 건축물을 만들 수 있어요. 다만, ... ...
- [기획] 수리 생물학 노트 III, 새의 날개짓 비행체에 적용하다!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새의 비행에 다시금 관심이 커지고 있어요. 그 이유는 일반 비행기가 접근할 수 없는 곳의 정보를 수집하는 소형 무인 비행체의 필요성이 높아져서예요. 소형 비행체는 기존 비행체보다 ‘레이놀즈 수’가 낮아 다른 비행 방식이 필요해요. 새의 비행 특성이 비행체에 필요한 이유 레이놀즈 수는 ... ...
- [인터뷰] 특별 인터뷰 시리즈 1. 최초를 넘어 최고로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절박한 심정으로 계속했어요. 젊은여성수학자상 덕분에 내 연구의 의미를 알아주는 곳이 있다는 생각에 감사했지요.” 이 경험 덕분에 ‘시간을 들인 만큼 문제는 풀린다’는 믿음을 갖게 된 배 교수님은 현재 또 다른 문제를 푸는 데 열중하고 있어요. 배 교수님에게 수학이란 무엇인지 물으니 ... ...
- [수학 기자의 책장] 수학적 사고로 바라본 세상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전문가가 어떻게 거품 붕괴를 예상할 수 있는지 알려줍니다. 전혀 수학이 없을 것 같은 곳에서도 수학을 찾습니다. 노래방과 프라모델의 공통점은 함수적 사고로 밴드의 해체 이유는 벡터적 사고로 설명하지요. 여러분도 수학적 사고로 더 재밌고 넓은 세상을 보고 싶지 않나요? 그렇다면 이 책을 ... ...
- [편집장이 허락하는 이달의 꼼지락] 솔로들을 위로하는 물 전기분해 실험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이온과 만나 수소 분자(H2)를 이룹니다(2H2O+2e- → H2+2OH-). 한편 건전지의 양극과 연결된 곳은 전자가 모자라집니다. 여기서도 전자를 뺏기는 건 수소 원자입니다. 전자를 뺏긴 수소 원자는 이온이 되고, 산소 원자는 자신의 전자를 지킨 채 다른 산소 원자와 만나 산소 분자(O2)를 이루죠(2H2O → O2+2H++2e-). ... ...
- [특집] 극한환경 속 해저 모듈 첨단소재 옷 입고 버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견디기 위해선 돔 구조가 적합합니다. 돔 구조는 둥근 곡선 모양 덕분에 압력이 한 곳에 집중되는 현상을 막고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켜 줘요. 그래서 압력이 높은 해저에서도 안전하지요. 또한 돔 구조는 하중을 지탱할 내벽이 필요하지 않아서, 최소한의 건설 재료로 최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요 ... ...
- [특집] 체스문제, 직접 풀어 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먼저 여왕이 둔 퀸이 공격할 수 있는 경로를 하늘색으로 색칠했어요. 하늘색으로 칠해진 곳을 피해서 다음 퀸을 두면 되기 때문이지요. 체리는 두 번째 퀸을 f8에 두고 다시 퀸이 움직일 수 있는 경로를 보라색으로 색칠했어요. 가로줄과 세로줄에 퀸이 하나씩만 놓여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은 스론은 ... ...
- [특집] 수천 미터 지하에서 우주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가장 깊은 곳에 있는 실험실 ‘예미랩’이 10월 문을 열었다. 강원도 정선 예미산 지하 1000m에 자리 잡은 이 실험실의 목표는 아이러니하게도 우주 속 미지의 입자, 암흑물질과 중성미자의 정체를 밝히는 것이다. 우주의 비밀에 닿기 위해 수천 m 땅 아래 어둠을 파고든 과학자들을 만났다. 과학자들은 ... ...
- [특집] 어디까지 알아 봤니? 전 세계 지하실험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서드버리 지역 탄광 지하 2092m에 3만7000m3 규모로 건설됐다. 맥도날드 교수는 2002년 이곳에서 물보다 무거운 중수 1000t을 채운 탱크를 이용해 태양 중성미자가 변환한 중성미자의 신호를 포착했다. 다카아키 교수는 1998년 일본 기후현 카미오카 지역 모즈미 광산 지하 1000m에 설치된, 초순수 5만t을 채운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