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수"(으)로 총 1,3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이 전류를 이용해 LED에 불을 켜거나 배터리 충전을 할 수 있답니다. 샤워기, 빗물, 개수구의 물 등 생활 주변에서 흔히 보는 ‘낙하하는 작은 물방울’이면 뭐든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에요.권순형 책임연구원은 “지난해 개발했을 때는 물 한 방울이 흐를 때 LED 한 개를 밝힐 수 있는 ...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나타냈다. 크림처럼 잘 섞이는 비율은 물 안의 기름방울 또는 기름 안의 물방울 크기와 개수, 밀도 등이 중요하다. 만약 마요네즈처럼 물 안에 기름방울이 섞여 있다면 식은 다음과 같다. 공기도 요리의 일부!물과 기름뿐 아니라 액체와 공기를 섞는 일도 성공했다. 과일즙이나 소스, 스프, 샐러드 ...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이 직선과 짧은 나선(연두색)이 만나는 교점을 모두 구해보면 그것이 바로 세로선의 개수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짧은 나선의 방정식을 y= -x+n이라 합니다. 그러면 n은 0 이상, 20 이하인 수가 됩니다. 이때 두 직선의 교점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파인애플 깎기 달인이 알고 있는 ...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등장하는 W는 주어진 거시적인 상태에서 시스템이 가질수 있는 모든 미시적인 상태의 개수를 의미한다. 볼츠만의 도움으로 물리학자들은 “닫힌 시스템에서 엔트로피는 늘 증가한다”는 열역학 두 번째 법칙의 의미를 비로소 이해하게 됐다. 미시적인 물리법칙들은 뉴턴의 운동방정식처럼 과거와 ... ...
- 18년 만의 슈퍼 엘니뇨 강타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세기가 세지고 활동 기간도 길어진다.하지만 이 때문에 한반도를 강타하는 태풍의 개수는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 발생 위치가 오른쪽으로 치우치면서 우리나라보다는 일본으로 진로를 틀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은 대부분 필리핀 서쪽 해상에서 발달해 중국 ... ...
- 내가 뭘 좋아할지 소프트웨어에게 물어 봐!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추천해보자.수학으로 간단히 유사도를 구할 수 있다. 교집합 상품개수를 합집합 상품개수로 나누면 된다(│A∩B│/│A∪B│ ). A와 B는 교집합 원소 수가 2, 합집합 원소 수가 4이므로 유사도는 0.5다.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면 A와 C는 유사도가 0이다. C보다는 B가 산 물건을 A에게 추천할 때 만족할 ...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측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전자 하나의 전하량을 상수로 보고, 전선을 통과하는 전자의 개수만 정밀 측정하면 된다. 그리고 드디어 때가 왔다.전자 하나만 흘려보내는 펌프“이 안에 전자 하나만 흘려보내는 장치가 들어 있어요.”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의 배명호, 김남 연구원은 막대기 ... ...
- [생활] 1000년의 역사 앙코르 와트 신화 속으로 떠난 신비한 숫자 여행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둘러싼 탑이 44개니까 각 면에는 11개씩 있었지요. 이제 한 단 한 단 올라가며 작은 탑의 개수를 세어봅시다. 그러면 정사각형 모양의 각 단에는 모서리에 있는 네 개의 탑을 포함해 작은 탑 열두 개가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탑 열두 개가 다섯 개 단에 걸쳐 있으니까 총 60개의 탑이 서 있는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물리학자들은 볼츠 만 상수와 기체상수를 비교해 아보가드로수(1몰에 해당하는 분자 개수)를 알아냈다. 당시에 이미 알려 진 전자 1몰당 전하량을 아보가드로수로 나눠주니 전 자 1개의 전하량도 알 수 있었다. 일석이조를 넘어 돌 멩이 하나로 적어도 새 일고여덟 마리는 잡은, 한마디 로 대박이었다 ... ...
- [수학뉴스] 투명망토의 정체는 벌집 구조?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벌집 모양의 그물이 있다고 상상했습니다. 그 다음, 서로 다른 육각형이 만나는 점의 개수를 유지하면서 용수철 사이를 벌려 그물에 큰 구멍을 만들었습니다. 만약 용수철이 길어져 저항의 크기가 커지면 용수철 속을 넓혀 저항의 크기를 도로 줄일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렇게 만든 그물은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