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눈은 성운의 색깔을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성운은
사진
처럼 붉게 보이지 않는다. 반면
사진
에서는 오랜 시간 동안 성운의 빛을 받기 때문에 붉은색이 드러난다.그럼 오리온대성운은 어떻게 보일까. 다만 희뿌연 구름 같은 모습으로 빛난다 ... ...
이라크 무기사찰에서 사용되는 불법무기 추적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원인(猿人)에 뒤이어 30만∼70만년 전 출현했던 화석인류천체관측용 망원경 육안관측과
사진
촬영에 쓰이며 굴절식과 반사식이 있다도형이나 화상을 수치데이타로 바꾸어서 컴퓨터에 기억시켜 놓고, 그 데이터의 일부를 변경시킴으로써 원하는 도형으로 만드는 것민물·습지 등 어디에나 분포하는 ... ...
1 우리 위성 쏘아올릴 액체로켓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갖고 몰두하다보니 알면서도 위험 속으로 뛰어들어갔다. 물론 연소 시험할 때 옆에서
사진
을 찍던 연구원이 엔진 소리에 놀라 뒤로 나자빠지는 일도 있었다.개발계획 앞당긴 북한 대포동 쇼크KSR-Ⅲ 액체추진제 과학로켓 개발사업은 국제금융기구(IMF)의 손길이 온나라의 겨울 하늘을 짓누르기 ... ...
모험이의 스타워즈 에피소드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아르미뉴므다. 프라스티크 행성은 플라스틱 생산이 산업기반을 이루고, 피르므통 행성은
사진
가들이 주로 활동하고 있다. 또 아르미뉴므 행성은 알루미늄이 풍부한 것으로 유명하다.모험이는 각 행성에서 어떤 음파건을 만들어낼까.어드벤처 1 프라스티크 행성-플라스틱 팬파이프어드벤처 2 ... ...
대마젤란은하에서 발견된 '양' 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나온다.또한 ‘양 성운’ N30B에도 신화에 등장하는 헤르메스처럼 조연이 등장한다.
사진
맨위쪽에 있는 매우 밝은 별이 연기입자를 비추는 플래시처럼 양 성운을 비추고 있다. 헤니즈 S22이라는 이 별은 양 성운에서 단지 25광년 떨어져 있는 초거성이다. 만일 양 성운에서 S22 별을 바라본다면 ... ...
상식에 어긋나는 흑맥주 기포의 추락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하나의 프린터 헤드에 2백개 가량의 노즐들이 수μ초마다 미세한 잉크 방울을 뿜어내면서
사진
과 같은 고해상도로 프린트해낸다. 그러면서도 버블젯 프린터는 레이저 프린터에 비해 가격이 훨씬 싸다.노즐에서 짧은 시간만에 미세한 잉크방울을 뿜어낼 수 있는데는 기포를 제어하는 기술 덕분이다. ... ...
독감과 싸우는 약품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정부의 초청을 받아 통신망을 완성했다 55년 뮌헨에 광학기계 제작소를 설립하고 망원경·
사진
렌즈, 기타 광학기계를 제조했다 한편 지구를 도체로 하는 환귀전류(還歸電流)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도량형 단위의 확정에도 이바지했다 독일의 슈투트가르트 북쪽 약 20km 지점의 슈타인하임에서 발견된 ... ...
스페인 침몰 유조선 기름 제거 작업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방사선원과 필름 사이에 피사체를 두고 피사체에 따라 방사선원을 택해 그 내부구조를
사진
찍을 수 있다여러가지 화학적 변화로 식품에 변질 또는 부패를 일으키는 미생물 · 효소 등을 사멸 또는 불활화시키는 처치 주로 식품저장에 이용한다 식품의 방사선 조사는 목적에 따라 저선량조사 · ... ...
무선통신 서비스용 무인기 헬리오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1lm(루멘)에 대해 20~50μ이다가시광선 · 자외선 · 적외선에 예민하므로 토키텔레비전 ·
사진
전송 · 광선전화 등에 응용된다핵폭발실험에 의해 생기는 방사성 낙진 속에도 들어 있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영향이 문제가 된다미국의 세균학자 A 세이빈이 발명한 경구용(經口用) 소아마비예방 생(生)백신 ... ...
털모자 눌러쓴 에스키모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겨울철 추위를 내몰 만한 훈훈한 대상이 없을까.허블우주망원경이 찍은
사진
을 보자.
사진
의 주인공은 NGC2392(에스키모성운)이다. 1787년 독일 태생의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이 처음 발견한 이 성운은 보통 망원경으로 보면 파카의 털모자를 뒤집어쓴 사람의 얼굴처럼 보인다. 그래서 별명도 ... ...
이전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