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싶어서 칠레에 있는 초거대(VLT) 망원경이 관측한 153개의 새로운 퀘이사를 분석하기
시작
했다. VLT 망원경을 통한 분석은 2010년 중반에 끝났다. 그런데 결과는 더욱 충격적이었다. 미세구조 상수의 값이 지금보다 작기는커녕 반대로 좀더 크다는 또 다른 반전이 나타난 것이다.웹 연구팀은 왜 이런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수소핵 찾아낸다MRI의 역사는 ‘핵자기공명(NMR·核磁氣共鳴)’이 개발된 1946년부터
시작
한다. 미국 하버드대와 스탠퍼드대 연구진이 공동 개발한 NMR은 분자의 구조나 특징을 파악할 때 사용한다. 자기장을 띠고 있는 곳에 놓인 물질의 원자핵이 고주파와 만나면 공명현상에 의해 특정 고주파를 ... ...
제11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제11회를 맞는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접수가 4월 2일부터
시작
된다. 전국 초·중·고생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이 대회는 과학논술과 과학독후감 2개 부문으로 진행된다. 이번 대회 과학논술의 논제는 유엔이 지정한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한 에너지의 해’를 기념해 선정하였으며 공식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그 뒤 폴즈는 자신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지문을 들여다보기
시작
했고 정말 사람들의 지문이 모두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지문을 분명히 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다가 손가락 끝에 잉크를 묻혀 종이에 찍는 방법을 생각해냈다. 이렇게 지문에 빠져있을 때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하지만 최 교수는 거기서 포기하지 않았다. 대신, 실험이 왜 실패했는지를 따져보기
시작
했다. 가스 이온의 무게가 가벼워 나노 입자보다 먼저 날아와 감광막 위에 달라붙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리고 뒤늦게 날아온 나노입자들은 같은 극성으로 대전된 가스 이온들을 피해 감광막 사이 빈 틈을 ... ...
생명과 행성의 공진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후기에 풍부하다. 시생대에 남세균에 의해 만들어진 산소는 차츰 대기에 누적되기
시작
해 원생대 중기쯤에는 산소 대기라고 일컬어도 될 만큼 대기의 산소 농도가 풍부해진다. 원생대 후기의 에디아카라 시기에는 몸 표면이 연약한 다세포 생물이 많이 살았다. 다가올 고생대 캄브리아기의 ... ...
건축도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그리고 미국 보스턴의 심포니 홀이다. (…중략…) 이 홀들은 현대 건축 음향학이
시작
되기 이전인 1870년에서 1900년 사이에 지어졌다. 이곳이 가장 뛰어난 콘서트홀로 평가되는 데는 홀의 형태와 실내마감의 상태 재료 때문이다. 이러한 홀들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천장이 높고 홀의 폭이 좁아 측벽을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1985년에 선체가 발견되자 빙산에 부딪혀 입은 피해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가 이뤄지기
시작
했다. 1996년에는 빙산에 부딪힌 부분에서 구멍 6개가 발견됐다. 그중 가장 큰 구멍은 길이가 약 10m였다. 생각했던 것보다 작은 피해였다. 충돌 당시 별로 충격을 받지 않았다는 생존자들의 증언과도 일치하는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지구의 망원경에 만족할 수 있을까. 2018년경 발사 예정인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활동을
시작
하면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도 기대가 크다. 주 반사경의 면적이 허블우주망원경보다 5배나 큰 만큼 더욱 선명한 영상을 보여줄 것이다. 우주비행 기술이 더욱 발달한다면 달의 뒷면 같은 곳에 거대한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부임했지만 이 프로젝트가 끝날 때까지는 비글로연구소 실험실도 운영하고 있다.[“이제
시작
이지요.” 아직은 텅 빈 실험실에 가장 중요한 장치인 게놈분석기를 설치하며 윤 교수가 뿌듯해했다.]육상식물 버금가는 역할하는 조류지난해와 올해 윤 교수는 연달아 저명한 과학저널인 ‘사이언스’에 ... ...
이전
613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