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꽃가루 화석에서 피어난 한반도 과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약 8000년 전 중국 양자강 하구 유역에서 시작됐다는 사실을 알아내 ‘네이처’에
발표
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논농사와 밭농사 가운데 어느 것이 먼저 시작됐는지도 알 수 있지 않을까.논농사가 시작된 시기를 알아내는 결정적인 증거는 꽃가루 화석 말고도 또 있다. 바로 식물규소체다. 주로 ... ...
[culture] 한여름 보양식의 제왕 뱀장어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마리아나 열도와 필리핀 사이의 서북 태평양 깊은 바다에 위치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표
했고 현재 후속 연구가 진행 중이다.뱀장어는 민물에서 5~12년간 생활하다가 번식 가능한 나이가 되면 수천km나 떨어진 바다를 향해 기나긴 산란 여행을 떠난다. 이때의 뱀장어는 소화기관이 퇴화해 아무것도 먹지 ... ...
[입학사정관제] 면접과 토론으로 준비된 나를 어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말했다.토론에서는 다른 사람 앞에서 자신의 평소 생각이나 의견을 얼마나 조리 있게
발표
하는가가 주요 관건이다. 그래서 처음 보는 사람과 대화하기를 어려워하거나 수줍어하는 지원자에게는 불리할 수 있다. 자신의 의견을 다른 사람이 공감하도록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토론은 면접과 ... ...
‘공기파도’로 모양 구분해 신약 효능 분석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HDMS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품을 개발해 ‘미국질량분석학회저널’(JASMS)에
발표
했다. 권 박사가 개발한 부품은 ‘백금와이어 스프레이팁’으로 기존 스프레이팁을 응용한 것이다. 기존 스프레이팁은 실수로 공기 방울이 들어갈 경우 전도성이 떨어져 이온이 지나가지 못하게 ... ...
아폴로의 달 착륙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월 25일 미국의 케네디 대통령은 당시로선 상상하기도 어려웠던 ‘유인 달 착륙’ 계획을
발표
했다.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호를 발사하고 최초의 우주인 유리 가가린을 탄생시킨 구소련에 대항해 국가의 자존심을 회복하는 게 이 계획의 핵심이었다.달에 착륙하기 위해서는 사람을 달까지 ... ...
점점 작아지는 베텔게우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가장 밝은 별인 ‘베텔게우스(알파별)’가 점점 작아지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
했다. 지난 15년 동안 크기가 15%나 줄어들었다는 내용이다. 베텔게우스는 오리온자리의 왼쪽 위 꼭짓점에 있는 붉은색의 거대한 별. 보통 별들은 지구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대부분 작은 점 정도로 보인다. 그러나 ... ...
용감한 새가 잘 잡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Ficedula albicollis)가 성격에 따라 덫에 반응하는 정도가 다르다”고‘동물행동’ 4월호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수컷 목도리딱새 41마리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3단계의 실험을 고안했다. 먼저 수컷의 둥지 위에 암컷을 한 마리씩 넣은 새장을 설치하고 수컷의 반응을 살폈다.41마리 중 33마리가 암컷에게 ... ...
나로 호 성공, 발사 뒤 5초에 달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예상되는 기상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D데이’를 결정한다. 현재 대외적으로
발표
된 발사 예정일은 7월 30일을 전후한 5일간. 후보 날짜 가운데 좀 더 확실한 발사 예정일을 잡는 것이다.정해진 발사 날짜를 기준으로 2일 전에는 발사체를 발사대로 옮긴다. 1일 전에는 리허설을 진행한다. ... ...
“참여·공유 내건 학술지, 온라인 오픈”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중복수정을 하는 데 필요한 ‘쌍둥이 정자’를 만드는 과정을 규명하고 ‘네이처’에
발표
해 세계 3대 과학저널에 모두 논문을 싣는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쌍둥이 정자를 만들 때 단백질 복합체(SCFFBL17)가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힌 이 연구는 식물이 진화하는 과정에 대한 ... ...
유전자에서 단백질까지 살피며 질병 원인 한눈에 파악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왜 특정 경우에만 심장이 병적으로 커지는지 이유를 밝히는 것. 김 교수팀이 2008년
발표
한 논문에 따르면 심장비대증 환자는 시스템지도에 나타난 14개의 신호전달 경로 중에서 7개 경로가 정상인과 달랐다. 이는 심장비대증 환자의 경우엔 똑같은 칼슘이 작용해도 단백질과 유전자가 상호작용하는 ... ...
이전
613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