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받은 국가를 옵저버라고 한다. 한국은 영국, 중국, 인도 등과 함께 12개 정식 옵저버 중 하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극지의 심장은 뜨거웠다Part 1. 북극 :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Interview. 자원 넘치는 북극 바다밑, 지형부터 알아야죠Part 2. 남극 : 가장 뜨거운 바다에서 얼음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암컷을 다른 경쟁 수컷들로부터 지켜낸다. 그런데 아주 이상한 사실이 있다. 두 수컷 중 하나는 우위자라서 암컷과의 짝짓기를 독점한다. 나머지 수컷은 열위자다. 죽어라 일만 할 뿐, 암컷과는 한 번도 교미하지 않는다. 열위 수컷은 도대체 왜 바보처럼 우위자를 돕기만 할까. 차라리 독립해서 혼자 ...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선수들의 마음을 좀 더 가볍게 해줄 겁니다.캐 자, 이 순간 기보배 선수 남은 아홉 발 중 첫 발을 준비합니다. 차분한 표정…. 텐입니다, 텐! [뉴로피드백 훈련을 받고 있는 사격선수. 자신의 경기영상을 보면서 뇌파를 측정하고, 현재 자신의 상태가 화면에 색깔(신호등)로 나타난다. 반복된 학습을 ... ...
- [Tech & Fun] 전자를 가속시켜 깨끗한 물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말했다.올 하반기부터 시작되는 한-UNDP 2단계 협력 사업은 2020년까지 진행되며, 8월 중 공모를 통해 사업자를 선발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이 사업에 총 400만 달러(약 46억 원)를 지원할 예정이다. ... ...
- [Tech & Fun]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가 가능한 슈퍼컴퓨터를 도입할 예정입니다.볼더는 미국에서 학력이 가장 높은 도시 중 하나입니다. 인구 10만 명 남짓한 소도시에 NCAR를 비롯해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미국 해양대기청(NOAA) 분소까지 유명한 연구소가 세 개나 몰려 있습니다. 볼더는 야외스포츠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가장 ... ...
- 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들어와 몸을 해칠 수 있답니다.실제로 지난해 여름 일본 도쿄에서 잡은 멸치 64마리 중 49마리의 몸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었어요. 또 호주 연방과학산업기구의 연구에 따르면 2050년 바닷새 99.8%가 미세플라스틱을 먹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해양쓰레기 ... ...
- [과학뉴스] 먹이가 풍부할 땐 골고루 나눠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조르는 새끼들이 먹이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이때는 여러 마리의 새끼들 중 특정한 몇 마리만 먹이를 먹을 수 있었죠. 그런데 반대로 주변에 먹이가 풍부한 경우, 어미 새는 좀 더 다양한 새끼들에게 먹이를 나누어 주었답니다. 몸집이 크지 않고 적극적으로 먹이를 애원하지 않아도 ... ...
- [과학뉴스] 방귀를 연료로 쓴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동물들이 방귀와 트림으로 내뿜는 메탄가스는 이산화탄소와 더불어 대표적인 온실가스 중 하나예요. 그런데 최근 기초과학연구원 백무현 교수팀이 메탄가스를 화학 연료나 플라스틱 등의 유용한 물질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어요.연료, 플라스틱, 섬유, 의약품 등 우리가 생활에서 사용하는 ... ...
- [지구사랑탐사대 4기 발대식] “ 신나는 축제처럼 탐사를 즐겨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포스터 전시 시간이 새롭게 마련됐어요. 포스터는 어벤저스와 교육 스태프 팀들 중 9개 팀이 지사탐 본부로 보내온 생생한 탐사 사진들을 이용해 만들어졌어요. 600여 명의 대원들은 복도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포스터들을 살펴보고, 궁금한 것이 있으면 어벤저스와 스태프 팀들에게 묻고 답하는 ... ...
- [수학뉴스] 만점 금메달에 얽힌 비하인드 스토리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중에서 6번 문제는 수학동아 독자들도 풀어보면 좋겠습니다. 기발한 아이디어만 있으면 중학생도 풀 수 있는 문제거든요. 그런데 그 아이디어를 생각지 못하면 아주 어려운 문제지요. 그래서 답을 보면 왜 이렇게 쉬운 문제를 못 풀었지 한답니다(문제는 수학동아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 엄상일 ... ...
이전6126136146156166176186196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