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발사체 96년에 실험발사를 목표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연도별로 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수행할 예정이다. 회의론을 극복하자 이러한 사업이
성공
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민적합의와 지원이 필요하다. 우주개발 초기에는 반론이 많이 있을 수 있다. '무엇때문에 하는가?' '경제성이 있는가?' '과연 우리가 할 수 있는가?' 등의 회의적 견해가 ... ...
초전도현상 컴퓨터개발에 이용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사용하는 것. 온칩연결은 87년 3월 IBM에서 세라믹초전도체로 간단한 소자를 제조하는데
성공
함으로써 그 가능성이 높아졌다.완전 초전도 컴퓨터개발의 마지막 단계는 능동소자와 연결선이 모두 초전도체로 된 집적회로를 만드는 것이다. 여기에는 조셉슨설계가 이용될 것이다.전문가들의 ... ...
정지위성발사에
성공
한 중공의 우주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그 위성은 마치 정지하고 있는것 같아서 이렇게 이름이 붙은 것이다. 이 일을
성공
시켰다는 것은 중공이 자력으로 통신위성, 로킷, 관제문제등 모든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했다는 저력을 과시하는 것이다. 이것도 일본보다 3년이나 앞섰다. 중공은 인공위성추적을 위하여 중국의 광범위한 땅위에 ... ...
학문의 길로 가고 싶은데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해서 중·고교시절에 늘 우등생이었던 것은 아니다. 평범한 학생으로 대기만성형의
성공
을 거둔 예는 많이 있다. 다만 실제적으로 잘 분별해야 하는데 소위 일류대학에 못갈 실력이라면 경쟁률이 좀 낮은 대학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그래서 그 대학에서 두각을 나타내면 된다. 대학공부는 ... ...
산학 협동으로 현장교육 중시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취업률이 우수한 학과는 식품영양학과(52%) 화학과(47%) 수학과(30%) 등이다. 이공계 대학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요인으로는 튼튼한 재단, 훌륭한 교수진, 우수한 학생 그리고 알찬 실험실습시설을 꼽을 수 있다. 이 가운데 울산대학교가 자부하는 것이 교수진의 우수성이다. 서울대 연·고대 등 세칭 ... ...
독립형 오디오텍스 시스팀 개발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디지콤 정보통신연구소팀은 공동으로 독립형 32채널 오디오텍스시스팀을 개발하는데
성공
했다. 이 시스팀은 각종 데이타정보를 얻는 데에, 일반 CRT 단말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기존 전화기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통신장비, 즉 음성통신기술과 데이타통신기술을 결합시킨 것이다. ... ...
전전자교환기용 「코덱IC」개발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최근 고집적 고성능의 디지틀 전자교환기용 반도체인 코덱IC 개발에
성공
하여 통신산업에 기여하게 되었다. 코덱IC는 통신시스팀의 음성 입출력기능을 수행하는 핵심부품으로서 디지틀 전자교환기 및 전화기에 사용된다. 특히 최근 통신주파수방식이 공간분할방식에서 시분할방식으로 전환 추세에 ... ...
존 홉킨즈대학에서 분리에
성공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몸이 붙은 쌍동이(Siamese twins)는 정확히는 조사되지 않았지만 세계에 적어도 수십쌍이 있는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머리가 붙은 경우와 등이나 옆구리가 붙은 경우가 많다. 이런 쌍둥이를 샴쌍동이라고 부르는 것은 샴(태국의 옛이름)에 수자가 많아서가 아니고 서양사람이 태국에서 처음보고 그렇게 ... ...
초능력의 세계를 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군사적 목적으로 연구 유교수팀은 문헌조사를 거쳐 키를리안 사진촬영을 재현하는데
성공
했다. 1만5천V의 전압과 30KHz의 고주파가 흐르도록 한 장치에 나뭇잎을 높고 사진을 촬영했더니 선명한 '오라'의 모습이 나타났던 것(사진 참조). 이 분야에서 가장 앞선 나라는 소련이다. 소련에선 '오라'가 ... ...
제3의 산업혁명이 불붙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개발이 시작되었다. 84년 대우중공업은 국내 최초의 다관절형 로봇인 NOVA-10을 제작하는데
성공
하였고 삼성항공도 '와이즈맨' 로봇을 자체 개발해 카메라 부품 생산라인에 투입하였다. 이 결과 수작업보다 10~20%정도의 생산성이 높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도 금성산전이 사출기의 취출용 ... ...
이전
612
613
614
615
616
617
618
619
6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