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갔다 돌아올 '판타스틱 씨앗'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꼽았다. 우주살모넬라균의 DNA를 조사한 결과 유전자 167개와 단백질 73개에 중대한 변화가
발견
된 것이다.그는 “환경변화에 대한 생명체의 반응을 보여주는 실험결과”라면서 “이 병균들은 환경이 변화하면 자신들이 어디에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으며 달라진 환경을 감지하는 순간 살기 위해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유럽연합이 10년이 넘는 준비 끝에 ‘국제우주정거장’(ISS) 에 합류했다. 이탈리아에서 만든 ‘하모니’는 ISS에 6년 만에 추가되는 모듈이다. 하모니는 유럽연합과 일본이 각각 발사할 ... 약 1백배 차이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망원경을 사용하면서 6등성보다 어두운 별도
발견
됐고, ... ...
천문학자의 '청계천 연가'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부탁했는데, 거절당하기 일쑤였죠. 마침 저거면 되겠다는 생각이 든 기계가 있는 집을
발견
하고는 주인아저씨에게 하루 공임보다 더 많이 드리겠다며 설득을 했어요. 주인아저씨는 설계도를 한참 들여다본 뒤 승낙하시더군요.” 그 가계에는 자동화된 CNC 밀링머신이 돌아가고 있다. 컴퓨터에 ... ...
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표시했다. 그리고 중앙아시아지역과 몽골지역민이 우유를 잘 소화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몽골이 좋은 예다. 몽골인은 아침에 일어나면 ‘수태차’라는 차를 만드는 일로 하루를 시작한다. 수태차는 우유와 약초, 따뜻한 물을 섞어 만드는 차다. 우유를 차로 마실 정도니 몽골인의 생활에 우유가 ... ...
크리스마스 밤하늘 장식하는 '전구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넘는 세페이드형 변광성을
발견
하고 이들 변광성이 밝을수록 주기가 느리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그리고 이를 일반화해 다른 곳에 있는 세페이드형 변광성에 거꾸로 적용했다. 주기를 측정한 뒤 변광성의 절대밝기등급을 알아내면 겉보기 등급과 비교해 지구에서 그 별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 ...
응어리진 한을 푸는 과학수사 이야기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검시하던 천령은 월령이 임신했었다는 사실과그의 죽음이 타살일지도 모른다는 증거를
발견
하고 수사를 벌인다.궁녀란 왕이 거처하는 궁궐에서 왕과 왕족의 시중을 들던 여성을 부르는 말이다.조선시대에는 궁녀를 뽑는 제도가 확립되면서 그 수가 약 500명에 이르렀다. 궁녀는 어린 시절부터 ‘못 ... ...
외래종 새가 하와이 살린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취급받았다. 하지만 미국 연구진은 환경을 해치기는커녕 오히려 보호하는 외래종을
발견
했다.미국 일리노이대 제프 포스터 박사팀은 하와이에 유입된 외래종 조류가 자생 관목의 씨를 퍼뜨려 숲 보전에 한몫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저널 ‘보전 생물학’ 10월호에 발표했다.하와이의 숲은 과육이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줄기세포치료의 부작용인 테라토마(기형종)도 생기지 않았다. 특히 주목할 만한
발견
은 새로 생긴 혈관을 이루는 세포의 30~40%는 주사한 사람세포가 아니라 생쥐의 세포라는 것. 배아줄기세포에서 막 분화한 싱싱한 혈관세포가 자신 뿐 아니라 주위 세포의 분열까지 촉진한다는 놀라운 결과였다. 1 ... ...
1. 하드디스크 소형화 일등공신 거대자기저항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박사는 올해 수상 업적인 GMR 효과가 학계 및 산업계에서 주목받도록 했으며 GMR 효과의
발견
자인 알베르 페르 교수와 페터 그륀베르크 박사가 노벨상을 수상하도록 도운 숨은 공로자다.파킨 박사는 영국 케임브리지대 트리니티 칼리지의 물리 및 이론물리학과에서 학사와 석박사 학위를 받았지만 198 ... ...
가을 밤하늘 '외계인의 고향' 찾기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있었다.세레스가
발견
된 뒤 화성과 목성 사이에서 지금까지 8만 개가 넘는 소행성이
발견
됐다. 이들 소행성 가운데 가장 크고 밝은 세레스를 가을 밤하늘에서 찾아보자.세레스는 현재 황소자리에서 고래자리로 옮겨가고 있으며 11월 9일 충의 위치에 온다. 즉 지구에서 볼 때 태양 정반대편에 ... ...
이전
612
613
614
615
616
617
618
619
6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