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305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진, 노벨 물리학상 받은 2차원 자성물질 비밀 실험으로 증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1
새로운 이론을 만들었듯, 이론을 실험으로 증명하는 과정에서 예측하지 못했던 중요한
발견
이 이뤄진다”며 “이번 연구는 2차원 원자층 물질의 자성현상에 대한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한 것으로 향후 자성 반도체나 스핀전자소자 등의 개발에도 응용되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21일 ... ...
알츠하이머 유발물질 ‘타우 단백질’ 혈액검사로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1
절실했다. 연구팀은 뇌 속에 타우 단백질이 쌓였을 경우 혈액에서도 타우 단백질을
발견
할 수 있고, 그 농도는 뇌 속 타우 단백질 축적량에 비례할 거라는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했다. 먼저 76명의 정상인 및 알츠하이머 환자, 그리고 그 중간인 ‘경도인지장애군’ 실험자를 모집했다. 그 뒤 각각의 ... ...
해조류에게 배운다…세균까지 차단하는 신개념 오염방지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바늘 구조(미세 돌기)에 주목했다. 박현아 연구원은 “미세 돌기는 자연에서 흔하게
발견
되는 표면 구조"라며 "세균(박테리아)이 닿으면 세포벽이 손상돼 죽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일종의 천연 항균효과인 셈이다. 연구팀은 물에서도 단단한 성질을 유지하는 다공성 고분자 물질인 '하이드로젤 ... ...
[Science토크] 면역항암제는 암 정복에 장밋빛 미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할 길이 멀다”며 “활성화한 면역세포가 정상세포까지 공격하는 부작용 사례가 일부
발견
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최근에는 특정 단백질로 활성화된 면역세포가 정상세포도 공격하는 부작용을 해결하려는 연구결과를 비롯해 많은 환자들에게 효과를 보인 면역항암제 임상연구 결과가 ... ...
[애니멀리포트] 반려동물 버리면 야생동물도 위험에 빠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1.19
2018년 11월 서울시는 2013년 7월까지 내장형 칩을 심은 개 4만여 마리 중 부작용이
발견
된 것은 8건뿐이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유기동물 제한에 중성화 수술도 한몫 수술을 마친 길고양이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오른쪽 귀를 약 0.9cm 잘라 표시한다. 게티이미지뱅크 한 쪽 귀만 짧은 길고양이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미싱 링크 찾는 로봇 고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1.19
원리를 얻어내는 연구 방식이다. 연구진은 지난 2004년 독일 중부에서 온전한 상태로
발견
된 오로베이츠의 뼈와 같은 지역에서 3년 뒤에 나온 발자국 화석을 컴퓨터 단층촬영(CT)으로 분석해 3차원으로 재구성했다. 여기에 현재 존재하는 양서류의 행동 방식을 투영한 오로베이츠 모델을 만들었고, ... ...
21세기 후반 책임질 차세대 입자가속기 FCC 건설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8
아원자를 찾는데 실패했다. 그동안 많은 과학자들은 우주의 비밀을 풀 새로운 물질의
발견
을 위해 LHC보다 강력한 강입자충돌기의 필요성을 주장해왔다. FCC는 2040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FCC가 가동에 들어가면 LHC는 가동을 중단한다. LHC는 1984년 처음 계획안이 나왔지만 2009년에야 처음 ... ...
2040년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커피 못마신다…야생커피종 60% 멸종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30도를 넘으면 커피나무의 잎이 떨어진다. 대부분의 커피 종은 아프리카 지역의 숲에서
발견
된다. 연구진은 지구온난화로 지속적으로 기온이 상승할 2038년에는 커피 생산량이 현재보다 40~50%가량 줄어들 것이라 예측했다. 또 2040년이 되면 전세계 커피 생산량의 약 90%를 차지하는 ... ...
"性소수자·생태 연구를 후원합니다" 소수연구 숨은 후원자 크라우드 펀딩
동아사이언스
l
2019.01.16
신청하려 해도 너무 기초적이이라거나(기본적인 조사 데이터도 없는 분야다 보니
발견
장소와 행동 등 기본 데이터부터 모으는 실정이다), 너무 기간이 길다는 이유로 번번이 좌절했다”고 말했다. 현장 연구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기존 연구비 지원제도도 걸림돌이었다. 돌고래 현장연구는 ... ...
25억년 전, 미생물은 황으로 호흡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6
국내 연구진이 황산염을 이용해 숨을 쉬던 25억년 전 미생물의 ‘숨결’ 흔적을 처음으로
발견
했다. 심민섭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팀은 25억 년 전 퇴적암에서 당시 미생물의 호흡으로 발생한 미세한 동위원소 조성 차이를 확인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0일자에 발표했다. ... ...
이전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6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