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그런데 이들 원소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된다는 사실을 알아 낸 사람이 있었으니,
바로
멘델레예프다.원소를 질량에 따라 순서대로 배열하면 화학적인 성질이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멘델레예프는 이런 생각을 더욱 발전시켜 원소 주기율표를 만들었다. 잘못된 순서를 바꾸기도 했고, ... ...
수학과 과학은 영원한 찰떡궁합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마지막으로 수학이 과학 원리를 설명하는 언어라는 점을 잘 보여 주는 사례를 소개한다.
바로
빛의 반사 법칙이다. 평평한 거울을 향해 비스듬히 광선을 발사하면 광선이 반사되는데, 이 때 입사각과 반사각은 같다. 그러면 빛이 포물선으로 된 면에 반사될 때를 생각해 보자. 흔히 포물선이라고 ... ...
동물도 수학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그런데 오랫동안 사실이라고 생각했던 클라이버 법칙에 의문을 제기한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의 피터 도즈 교수입니다.그러나 생물학자들은 동물의 다양성과 복잡함을 단순화시켜 일반적인 법칙을 이끌어 내려는 수학자들의 태도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 ...
거대동물 출현 잦아진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일본 연안 에서는 원래살지 않던 해파리의 개체수가 늘어나면서 골치를 썩고 있다.
바로
노무라입깃해파리(Nemopilema nomurai)와 유령해파리(Cyanea nozakii)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 밝힌 노무라입깃해파리의 크기는 우산 지름만 70cm에 달한다. 미래 한반도 바다의 왕은 누구?한국 연안에서 자주 출몰하는 ... ...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크게 난 이유이다. 진원은 지구 내부에서 지진이 처음 발생한 지점이고 진앙은 진원
바로
위의 지표상 지점이다. 지진 피해 정도는 진원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느냐에 따라 매우 다르다. 지진 에너지는 지진파 진폭의 제곱에 비례해 커지고, 이 진폭은 진원으로부터 피해지점까지의 거리에 ... ...
위풍당당 아라온호의 남극 쇄빙시험일지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깊이 잠겨 있는 얼음이다. 보통은 피해가는 게 정상이지만 얼음에 갇혔거나, 리지와
바로
접해 있는 부분을 연구하려고 할 땐 이것을 부수고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이날 도전한 리지는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가 7m이고 그 위에 40cm~1.8m의 눈이 쌓여 있었다. 아라온호는 리지에 뱃머리를 힘차게 6번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조경철’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거의 모르는 사람이 없다. ‘서민의 친구’란 애칭이
바로
내게 주어진 가장 큰 감투라 여긴다”라고 썼다. 이처럼 밝고 친근한 모습은 대중의 사랑을 한몸에 받기에 충분했다.기자가 빈소에서 만난 고인의 가족들도 조 박사를 친절하고 다정한 남편과 아버지로 ... ...
“수시 80% 확대… 창의적인 인재 선발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수시모집이 확대되며 대다수 학생들이 논술시험을 보고 들어오게 되는데, 논술이
바로
학생들의 창의성을 보는 방법이다. 창의적인 사고를 어떻게 끌어내는가, 논리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가를 평가한다. 이와 함께 서류 평가와 면접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특히 면접은 학생들의 실력을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거예요. 친구들과 함께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종이비행기를 만들며 놀기로 했어요.
바로
'어벤저'랍니다. 어벤저는 영국의 더 타임스에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종이비행기로 실리기도 했어요. 20초 동안 33m나 날아갈 수 있어요. 내가 어벤저를 어떻게 만드는지 설명하자마자 뚝딱뚝딱 만드는 ... ...
부끄러울 때 쥐구멍에 숨고 싶은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있다”고 말했다.그렇다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할 때 가장 먼저 찾게 되는 게 뭘까.
바로
‘공간’이다. 공간은 자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원시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 원시적이라는 것은 쉽게 말해 좀 더 가깝고, 즉각적이며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다. 그래서 우리는 부끄러운 ... ...
이전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6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