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죽은 자도 말을 한다.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막혀 질식사하는 경우) 모든 익사체가 전부 액체를 흡입했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물
을 흡입한 시체에서는 기도와 폐장뿐만 아니라, 위장과 십이지장에서도 다량의 액체가 나타난다.해부가 만능 열쇠는 아니다이와 비슷한 예는 또 있다. 화재현장에서 사망한 시체가 바로 그것이다. 사망자가 ... ...
효소라는 이름의 촉매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이뤄진다. 이 효소에 의해 반응속도는 1천만배로 가속돼 매초 10만개의 탄산분자에서
물
을 빼앗아 이산화탄소로 바꾸든지 그 반대로 탄산을 만들어낸다. 반응속도가 이렇게 빨라지는 것은 효소가 활성화에너지를 작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반응이 일어나려면 일정한 에너지 이상을 가진 분자들끼리 ... ...
곤충이 범인을 잡는다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구더기를 조사해 희생자가 어떤 약을 먹었는지 알아볼 수가 있다. 곤충의 유충은 약
물
에 따라 특이한 생태를 보이는 경우가 있다. 어떤 종류는 코카인을 많이 먹으면 성장이 가속화된다.검정파리가 시체의 어느 부위에 모이는가를 살펴보면 사망원인을 알아내는데 도움이 된다. 검정파리는 상처 ... ...
필름통으로 만든
물
온도계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했다.온도계에서 중요한 점은 일관되게 온도를 표현해야 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물
온도계의 문제점은 기압에 영향을 받는다. 날씨가 맑은 날과 비오는 날에 따라 변하는 대기압에 의해 측정하는 온도가 다르다면 정확한 온도계라고 할 수 없다.현재 사용하고 있는 온도계에는 알코올 온도계와 수은 ... ...
드라이아이스 권총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4일은 거뜬히 보관할 수 있다.4. 발사 시간을 단축하려면 드라이아이스 조각을 여러 개에
물
을 많이 떨어뜨리면 된다.5. 드라이아이스에서 나오는 흰 연기는 드라이아이스 두위의 공기에 포함돼 있는 수증기가 온도에 내려가면서 응결돼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이다. 즉 소규모의 안개라고 할 수 있다.6. ... ...
자석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등이 그 예다. 또 자석은 우리의 생활을 더욱 풍요롭게하는 자기부상 열차에 쓰이고,
물
질의 근원을 알아내는데 필요한 가속기에도 쓰인다.전철카드 : 전철카드나 전화카드의 자석띠에는 자화된 바코드가 있다. 전철카드 위에 미세한 철가루를 뿌리면 바코드의 정보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석에 ... ...
커피가 가득한 잔에 설탕을 넣으면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다음 두 학생의 대화를 듣고 커피가 가득찬 컵에 설탕을 넣으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자."설탕도 일정한 부피를 차지하니까 넘치는 게 '당근이지'(당연하지 ... 5% 설탕
물
의 부피는 100g/1.108 =98.23mL가 된다. 즉 설탕 5g이 모두
물
에 녹게 되면(5%의 설탕
물
이 되면) 그 부피가 0.09mL만큼 늘어난 ...
인류를 먹여살린 화학비료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공정 덕분에 독일은 계속해서 폭탄 제조를 할 수 있었다.1차 대전 중 카이제르 빌헬름
물
리화학연구소 소장으로 있던 하버는 염소를 독가스로 쓰는 방법을 개발했는데, 그는 그렇게 해서라도 빨리 전쟁을 종식시키는 것이 인류의 고통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었다고 한다. 독가스가 연합군에게 ... ...
플라스틱의 변신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왜 그럴까폴리아크릴레이트는 자신의 무게보다 수십배 정도의
물
을 흡수하면서 고체화된다. 따라서 컵속에서 흘러 내려오지 않게 된다. 그래서 휴대용 화장실 포트나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한다 ... ...
베르누이가 말한다.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비치볼을 준비해도 된다. 헤어드라이어를 켜고 바람이 나오는 곳에 풍선을 갖다대본다.
물
론 헤어드라이어 끝에 붙이는 것은 아니다. 풍선에서 손을 떼보자.여전히 풍선이 떠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왜 그럴까. 이유는 지금까지 설명한 것처럼 풍선 표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속력이 빠르기 때문에 ... ...
이전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6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