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LHC, 왜 멈췄나과학동아 l2008년 11호
- 공급 부분이 고장 난 셈이다.더 큰 문제는 이 사고로 액체 헬륨이 대량 새어나왔다는 점. 사고 당시 액체 헬륨이 1t가량 흘러나온 것으로 알려졌지만 노 박사는 “액체 헬륨 2t이 유출됐다”고 밝혔다.액체 헬륨이 유출되면 LHC 내부 온도가 올라간다. 1.9K(영하 271.1℃)을 유지해야 하는 LHC 내부 온도는 10 ... ...
- SPORE, 게임에 진화가 팍팍?과학동아 l2008년 11호
- 새롭게 정의하기도 한다. 출시 전부터 많은 관심을 받은 ‘스포어’ 역시 이런 관점으로 해석할 수 있고, 이는 ‘스포어’를 개발한 윌 라이트의 전작 ‘심스’ 시리즈의 완성도와 무관하지 않다.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스포어’는 그간 ‘심스’가 보여줬던 창발성과 그 혁신성을 계승하는 데 ... ...
- NASA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08년 11호
- 될 수 있었는지 다시 생각합시다. 그리고 좋은 점은 배우고 응용하고, 우리의 강점과 특성을 살려서, 앞으로 20년, 30년 뒤에는 다른 나라가 한국의 우주 기술 없이는 그들의 목적을 이룰 수 없게 될 멋진 미래를 그립시다.흑백 TV로 달 착륙 보던 꼬마, NASA ‘넘버3’ 되기까지“신재원 박사는 ... ...
-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08년 11호
- 또 천체관측소에는 지름 1m의 광학망원경을 포함한 10대의 광학망원경으로 태양 표면의 흑점, 달의 분화구, 토성 고리, 오리온성운, 안드로메다은하 등을 실제 관측할 수 있으며, 지름 7.2m의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국내 최초로 운영하는 외계지적생명체탐사(SETI) 프로그램도 살펴볼 수 있다. 정말 운이 ... ...
- 나노세계 발목 잡는 카시미르 힘의 정체과학동아 l2008년 11호
- 닿으면, 반사돼 나오며 기계를 팽창시키는 인장응력파를 일으킨다. 이들 파동은 점착된 기계를 흔들어 바닥 면에서 분리시킨다.이 기술은 바닥 면 위에 있는 초소형 기계와 유체를 흔들어 미세한 향수 입자를 만드는 향 분사기나 미세한 물방울을 만드는 가습기, 그리고 미세한 잉크 방울을 분사하는 ... ...
-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연구소 개소과학동아 l2008년 11호
- 최근 영유권 문제가 불거진 독도와 가장 가깝기도 하지요. 가족과 떨어져 지내는 점이 힘들긴 하지만, 바다연구만큼은 미친 듯이 할 수 있지요. 하하.”어류유전육종학 전문가 노충환 박사는 연구소 인근에 있는 울진 원전이 자신의 어류육종연구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했다. 원전에서는 ... ...
- ‘텔미’ 춤추는 로봇에서 온기를 느끼다과학동아 l2008년 11호
- 동작 가운데 가장 의미가 있는 움직임은 팔을 움직이면서도 걸음을 옮길 수 있다는 점이다. 사람이야 팔을 고정하고 걷는 게 더 어색하지만 로봇에게는 팔을 움직이면서 걷는다는 게 무척 어려운 일이다. 자칫 잘못하면 몸의 균형을 잃어 넘어지기 십상이기 때문이다.“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의 ...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과학동아 l2008년 11호
- 사암-사질셰일-역암-셰일 순이다.2) 지층 C는 응회암과 사질셰일 사이의 사암이 없다는 점에서 지층이 깎여 나간 부정합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부정합 면이 될 수 있는 곳은 응회암과 사질셰일 사이의 경계인 지층 C의 ⑩번이다. 부정합 면은 지질시대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쓰이기도 한다 ... ...
- [생물]도파민의 작용 원리과학동아 l2008년 11호
-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는 하지만 연료 생산을 위해 새로 심은 식물이 이를 흡수한다는 점에서 무공해 에너지로 보는 시각도 있다.- 서울경제신문 2008년 6월 10일자유전자변형생물체를 에너지 문제에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 서술하라.전문가 클리닉에너지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생명공학 ... ...
- 초파리로 파킨슨병 치료한다과학동아 l2008년 11호
- 정상 세포가 염색체 숫자나 세포 구조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암세포로 변할 수 있다는 점에도 착안했다. 사람의 대장암 세포에서 AMPK의 활성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키자 대장암 세포가 정상으로 돌아왔다. 이 연구결과는 2007년 5월 ‘네이처’에 발표됐다. 정 단장은 “체내 특정 부위에 AMPK의 활성을 ... ...
이전609610611612613614615616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