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3) 광전효과로 '빛은 파동인 동시에 입자'라는 양자론 기본 개념 확립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며 양자론의 확률적인 해석을 거부했던 아인슈타인. 그렇지만 그는 양자론이 성립하는데 중요한 노릇을 한다.20세기의 과학자 가운데 아인슈타인 만큼 알려진 사람도 없을 것이다. 그는 과학의 영역을 넘어서서 우리들 생활과 철학에 큰 영향을 준 몇사람 되지 않은 ... ...
- 「광역 초팽창이론」확립한 천문대 라대일 박사과학동아 l1993년 09호
- 공부하는 사람은 일반상대성이론을 공부하지 않고는 불가능하지요."라박사는 서울대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1990년 펜실베이니어 대학에서 광역(extended)인플레이션이론으로 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지도교수는 옛소련의 린데와 함께 뉴(new)인플레이션이론으로 유명한 스타인하트. 라박사는 ... ...
- '꿈의 열차' T테 G제 V베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이미 착공됐으며 이 구간을 98년부터 운행한 후 2000년에는 서울―대전 간, 2002년에는 서울―부산 간을 2시간에 달리게 된다 이 철도가 완공되면 지난 70년 경부고속도로 개통으로 열린 국민 생활권의 변화만큼 큰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TGV를 납품할 GEC 알스톰사는 지난 1966년 우리나라에 ... ...
- 백령도의 조류와 식물과학동아 l1993년 09호
- 대한 열의가 높아 보였다.밤새 태풍 로빈호의 영향으로 비가 억수같이 쏟아졌지만 서울을 빠져나갈 때는 짙게 흐린 날씨일 뿐 비가 멈춘 상태여서 다행이었다.단숨에 버스는 인천부두에 도착했다. 인근 식당에서 간단히 해장국으로 아침을 때웠다. 8시10분 예정시간보다 10분 늦게 여객을 가득 실은 ... ...
- 열 받아야 글씨가 보이는 잉크의 비밀과학동아 l1993년 09호
- 레몬즙이나 염화코발트 용액으로 글씨를 쓰면 아무도 읽을 수 없습니다. 상대만이 알 수 있는 비밀 메시지를 보내 내용은 물론 화학적 원리도 알도록 해봅시다.탐정 소설을 좋아하세요? 애거사 크리스티의 '비밀결사'라는 소설을 보면, 감추어진 문서를 주인공들이 극적으로 찾아내는 대목이 나와 ... ...
- '컴퓨터 식탁'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윈도우용 응용프로그램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있다. 삼성전자의 훈민정음, 창인의 지필묵, 삼보의 보석 글 프로, 큐닉스의 글마당, 서울대 마이콤 연구실에서 만든 공개소프트웨어 위한글, 핸디소프트의 아리랑은 이미 발매중이거나 사용중이고, 여기에 휴먼컴퓨터의 글사랑과 한메소프트의 파피루스 등이 곧 발매 예정이다. 특히 휴먼의 ... ...
- 벽에 부딪친 초전도 연구에 돌파구 제시한 고려대 최동식 교수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있습니다. 그중에서 기존 이론에 물들지 않은 소장 물리학자들, 한림대의 원혜영, 서울대의 노태원, 충남대의 임국형, 서강대학의 유재준 교수 등에 거는 기대는 매우 큽니다."-이번 초전도체 연구가 결실을 맺게 되면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고 강조하셨는데···"과학기술 ... ...
- 청계천 잡동사니 더미 속에서 찾은 '보물'과학동아 l1993년 09호
- 0여년 전 서울의 청계천에는 지금의 북한산 계곡보다 더 맑은 물이 흐르고 있었다.4·19 당시 파리 남대학에서 연구에 골몰하던 필자는 학교(고려대)의 부름으로 2년 반만에 그곳에서의 연구를 중단하고 귀국해야만 했다. 당시 이곳의 연구 환경은 불모지와 다름없어서 누구로부터의 후원도, 조언도 ... ...
- 화학 - 자연의 복잡한 물질분리, 필요한 화합물 재구성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촉매는 물질의 반응속도를 변화시킨다. 촉매는 대개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지만 더러는 반응속도를 느리게 하는 촉매도 있다.중세의 연금술사는 구리나 철처럼 값싸고 흔한 금속을 금으로 바꾸어줄 '현자의 돌'을 찾으려 했다. 또 한편에서는 초목이나 돌 등으로부터 불로장생의 약을 만들 수 있는 ... ...
- 생물 - 눈, 직경 24㎜의 정교한 카메라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우리 몸에서 눈만큼 작으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내는 기관도 흔치 않다. 사물이 보이는 이치는 뭘까. 눈의 구조와 역할을 알아보자.척추동물의 눈은 카메라의 구조와 상당히 유사하다. 동공을 통해 들어온 빛은 수정체에 의해 굴절되고 초점이 조절되므로 망막에 도립상이 맺히게 된다. 카메라에 ... ...
이전609610611612613614615616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