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텔레파시’ 동물 실험 첫 성공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방에 있는 두 번째 쥐의 대뇌 피질에 미세전극으로 전달해 운동신경을 자극했다. 그 뒤 두 쥐의 행동을 관찰했다.관찰 결과 두 번째 쥐는 첫 번째 쥐가 누른 것과 같은 스위치를 동시에 누른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또 두 마리가 모두 학습에 성공해 물을 마셨다. 이는 두 쥐의 뇌가 정보를 실시간으로 ... ...
- [과학뉴스] ‘쥬라기공원’처럼 멸종 개구리 살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특이한 종이다. 어미 개구리가 알을 낳자마자 스스로 삼킨 후 뱃속에서 알을 부화시킨 뒤 뱉어내기 때문이다. 호주 열대 우림에서 살던 이 개구리는 1983년에 멸종됐다.개구리를 되살리기 위해 연구팀은 40년 동안 냉동상태로 있던 이 개구리의 조직에서 세포핵을 분리했다. 그 다음 유전적으로 ... ...
- 그들은 왜 ‘힉스 발견’을 다시 발표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데이터를 모은 상태였다.그렇다면 다음 차례는 무엇일까. ‘뭔가’를 잘 분리해 모은 뒤 확대도 해보고 깨뜨려도 보며 보리의 성질을 확인해야 한다. 힉스 역시 스핀 등 ‘결정적인’ 성질을 확인해야 한다. 그러자면 다시 더 많은 데이터를 모아야 한다.힉스 입자의 대표적인 성질은 스핀이 0이라는 ... ...
- 비행, 레이더, 동면 - 진화의 꽃 박쥐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입으로 주파수가 수십~200kHz에 달하는 초음파를 1초에 10~200회 빈도로 발사한 뒤, 반사된 음파를 감지합니다. 초음파만으로 나방 같은 작은 곤충까지 사냥하는 모습은 경이롭기까지 합니다.한때 과학자들은 당신의 두 가지 대표 능력 중 어떤 것이 먼저 생겼을까 논쟁을 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 ...
- 와이어 타고 춤추며 ♪ 큰 소리 로 노래 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앗, 저 위에 있는 건 뭐지?나비요정이잖아! 진짜 날아다니고 있어! 비결이 뭐지?후훗. 내 뒤에 뭐가 달렸는지 잘 보렴.저건…, 선이 달렸잖아!잠깐!와이어 액션크레인에 연결된 쇠줄(wire)을 배우의 몸에 연결해 공중에 끌어올리는 것을 말한다. 무대에서 연기하는 배우를 들어 올려 신비로운 분위기를 ... ...
- [매스 미디어] 돌고래는 수학 천재? 돌핀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음파는 수학적으로 파형과 진동수, 진폭이라는 요소로 구성된다. 푸리에 변환은 수없이 뒤섞여 있는 소리 요소에서 비슷한 파형과 진동수, 진폭을 분리한다. 연구팀은 제돌이가 낸 소리만 뽑아낸 뒤, 자연 상태의 돌고래가 내는 소리와 비교해서 적응 정도를 파악할 예정이다.영화 속 주인공 ... ...
- [체험] 피보나치 수를 품은 잎차례와 앵무조개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번째 수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을 그린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정사각형을 그려나간 뒤, 첫 번째 그린 정사각형부터 그림❷와 같이 사분원의 원호를 그려나가면 하나의 아름다운 곡선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이 바로 ‘황금나선’이다.앞에서 살펴보았듯이 피보나치 수의 비는 황금비를 이룬다. 이 ... ...
- [퍼즐탐정 썰렁홈즈]‘만만바도 아우다라’의 초콜릿 공장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과자를 먹을 수 있다고?“이제는 밥도 안 먹고 초콜릿만 먹을 거야!”그로부터 석 달 뒤. 문제가 생기고 말았다. 너무 많이 먹은 나머지 갑자기 살이 찌고, 이가 썩으며 건강에 심각한 문제가 생겨 버렸다. 오늘은 썰렁홈즈가 치과 치료 받는 날이다.“으아아, 아프다고요! 나 이제 초콜릿, 그만 ... ...
- 아니, 의사 양반 이게 무슨 소리요? 병원이 나쁘다니…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이용해 질병을 치료해야 한다는 주의에 빠진 모양입니다.하지만 본인이 병원을 끊은 뒤 질병이 나았다고 해서 그게 인과관계를 보장해 주지는 않습니다. ‘병원에 가지 않았다’와 ‘병이 나았다’는 단순한 상관관계일 뿐 ‘병원에 가지 않았기 때문에 병이 나았다’와 같은 인과관계와 다릅니다 ... ...
- PART1. 대세는 '쿨톤'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수 있다는 말이 있었다. 곰이 햇볕이 들지 않는 동굴에서 쑥과 마늘을 먹고 100일을 보낸 뒤 고운 피부를 가진 인간 여자가 되었다는 단군 신화에서도 흰 피부를 숭상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신라에서는 피부를 희고 부드럽게 보이도록 연분(鉛粉)을 만들어 썼다는 기록이 있다. 또 고려 시대에는 ... ...
이전6086096106116126136146156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