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뿔
모
모서리
귀퉁이
각도
호른
각성
d라이브러리
"
각
"(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선 사용목적을 고려한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않을 때가 많다. 컴퓨터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이 IBM PC를 구입한다고 하면 제발 다시 생
각
해보라고 말릴 만한 상황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IBM PC의 사용자는 계속 늘고 있고 또 앞으로도 계속 증가되어 갈 것이다. 이 늘어나는 사람들에게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와 쉽고도 충분한 교육이 ... ...
일본 첨단과학 견학기 놀라움과 새로운
각
오의 일주일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지난해 12월 23일 오전 10시에 우리 견학단 6명(인솔자 한 분, 학생5명)은 1주일 예정으로 일본의 첨단과학기술을 견학키 위해 김포공항을 떠났다. 학생시절에 해외여행과 견 ... 승무원들이 왠지 딱했다. 우리말을 먼저하면 그들도 우리말을 배울 수 있고 배우려고 할 것같은 생
각
이 들었다 ... ...
PART6 광자공학재료 광컴퓨터가 탄생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신뢰성도 대폭 개선되어 Ⅲ-Ⅴ족반도체로 된 소자의 가격도 떨어지게 될 것으로 생
각
된다. 또 비선형재료와 유기재료에 대해서 여러가지 결정성장법이 응용된다면 완전히 새로운 광회로의 설계도 가능해질 것이다. 과거 10년간 광자공학은 혁명적인 발전을 이룩했다. 이 발전이 유기재료, Ⅲ-Ⅴ족 ... ...
PART9 초합금 극한상태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대단히 부서지기 쉬웠기 때문이다. 순감마프라임 Ni3Al의 시편을 가공하고자 할 때,
각
결정립의 강도는 크더라도 결정과 결정의 계면(界面)이 붕괴되어 시편전체가 가루로 부서져버리기 때문이다. 그런데 1979년 일본에서는 시료에 붕소를 미량 첨가하면 취성파괴(脆性破壞)를 방지할수 있다는 ... ...
기상정보시스템 주관예보체제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의존하고 있지만 현재
각
국의 수치예보모형을 파헤치고 있으며 또한 그러한 과정을 거쳐
각
모형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최종적인 한국형 수치예보모형을 확보할 계획으로 되어있다. 수치예보의 현실화를 위해서 인력 및 대형컴퓨터 확보가 우리 기상대의 당면한 과제이기도 하다. 기상예보는 ... ...
인류기원의 혁명적 반론 이브는 흑인이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그 새로운 종들은 펑퍼짐한 관목 숲속에서 똑바로 서서 주위를 살피고, 또 잘 생
각
해 보아야 했다. 또 한데 모여 뭉쳐서 자식들을 기르고 보호해야 했다. 2백만 년쯤전부터는 해부학적응로 볼 때 그 인간적인 모습이 명확히 드러난다. 뇌수가 들어차도록 관자놀이뼈와 두정골이 발달하여 경뇌막에 ... ...
과학혁명과 연구소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과학문화의 토대를 닦아 놓았다. 현대에 있어서도 과학연구소의 의의는 대단히 크다.
각
국가는 어떤 형태의 과학 연구소를 설립 운영하느냐에 커다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관심의 결과는 한 국가의 과학정책으로까지 번져가고 있다 ... ...
액정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머리)와 소수기(다리 2)로 되어있고 단백질이 작용하는 데 알맞는 장소를 제공한다고 생
각
된다. 즉 우리의 몸은 액정장(場)으로 구성된 덕택에 살아있을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리오트로픽액정의 막구조를 이용하면 무언가 반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생체의 구조나 성질을 탐구하여 ... ...
컴퓨터 자동번역 시스템 언어장벽이 무너진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바와 같이 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론자체가 불완전하기 때문에 1백%의 번역이이란 생
각
할 수 없다. 시스템에 따라서는 입력된 원문에 수정을 가하여 컴퓨터에서 보다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하는 방법(전처리:pre-editing)과 번역후의 번역결과를 원문과 비교하여 보다 정확히 수정하는 방법(후편집:post ... ...
최신예 전투기 EAP와 RAFALE 콘테스트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상승했고 15초정도의 속도로 선회를 마쳤다. 착륙할 때도 시속 2백20㎞의 속도에, 입사
각
25˚로 들어와 불과 4백m의 활주거리만으로 항공기를 정지시킬 수가 있었다. 반면에 EAP는 여전히 재래식 이륙장치를 갖고 있었다. 조종 이전에 완만한 속도로 가속을 내야 했고 선회를 끝내는데도 25초가 걸렸다. ... ...
이전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615
다음
공지사항